"기존 김해공항 활주로의 이용객 처리 능력이 연간 1천만 명밖에 안 된다니요?"
김해공항 확장안에 대한 검증(본보 23일 자 3면 보도) 과정에서 기존 활주로가 2본이나 되면서도 연간 이용객 처리 능력을 1천만 명으로 잡고 있는 데 대해 의아해하는 반응이 많다.
일각서 공군기지 이전 필요성 제기
군 동의·천문학적 이전비용 '난제'
지난해 김해공항 이용객이 1천200만 명을 돌파했으며 향후 한 해 100만 명가량의 이용객이 증가할 것으로 추산되는 점을 감안하면 터무니없이 적은 처리 능력이라는 것이다.
이는 김해공항 확장이 이뤄지고 북서쪽으로 새 활주로가 생기고 나면 기존 활주로에서는 북쪽 방향에서 남쪽으로의 착륙을 하지 않는 것이 주요인이다. 하지만 이를 감안한다고 해도 김해공항 확장안에 포함된 신설 활주로가 1본으로도 연간 2천800만 명의 이용객 수용이 가능하다고 추산한 데 비하면 지나치게 적은 용량이다.
이처럼 김해공항 기존 활주로의 이용객 처리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은 기존 김해공항이 공군이 주둔해 있는 군사공항이기 때문이다. 김해공항은 군공항이었던 수영비행장이 1976년 지금의 자리로 이전하면서부터 공군기와 민항기가 함께 이용해 왔다. 활주로를 공군기와 민항기가 나눠 쓰는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여객 처리 능력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김해공항 확장을 검토하기 전에 공군기지부터 딴 곳으로 이전하면 김해공항의 이용객 처리 능력이 대폭 늘어나지 않겠느냐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하지만 공군기지 이전은 쉽사리 넘을 수 없는 걸림돌이 세 개나 있어 현재로서는 실현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공군기지를 이전하려면 가장 먼저 국방부가 공군기지 이전에 동의를 해야 한다. 국가 안보 차원에서 필요한 공군기지를 민간의 필요에 의해 섣불리 옮길 수는 없는 노릇이기 때문이다.
어렵사리 국방부가 공군기지 이전에 동의한다고 해도 공군기지가 새로 옮겨 가야 하는 곳의 반발을 넘어설 수 있어야 한다. 이번 동남권 신공항 용역에서 보듯이 소음으로 인해 민간공항 입지 선정도 쉽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공군기지를 환영할 지역을 찾기는 더욱 어려운 일이다.
가장 큰 걸림돌은 공군기지 이전에 드는 천문학적인 비용이다. 군기지 이전에 대한 비용은 해당 지자체가 전액 지불해야 한다. 대구·경북(TK)지역이 신공항을 지렛대로 대구공항의 K2공군기지 이전 문제를 해결하려 했던 것도 7조 원이 넘는 이전 비용 마련 때문이었다. TK지역은 대구공항 폐쇄를 전제로 해당 부지를 매각해 부산의 센텀시티 같은 공간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나온 수익으로 K2공군기지 이전 비용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을 세울 수 있었지만 김해공항의 경우 기존 공항 확장을 전제로 한다면 이마저도 불가능하다. 이상윤 기자 nuru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