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산권 장애인 스포츠센터 ‘장애인 외면’ 설계 다시 하라”

입력 : 2019-02-19 19:41:22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속보=장애인 안전 대책 없이 전면 개관을 결정한 ‘서부산권 장애인 스포츠센터’(본보 지난 13일 자 11면 보도)를 두고 지역 정치권과 장애인 단체들이 시·구청의 대책 마련을 강력히 촉구하고 나섰다. 이에 부산시는 이번 주 내로 현장 방문을 거쳐 대책을 내놓겠다는 입장이다.

㈔부산장애인인권포럼은 다음 달 11일 서부산권 장애인 스포츠센터(이하 센터) 개관일에 장애인 회원들과 함께 현장을 방문해 문제가 되는 비상대피로를 직접 체험할 예정이라고 19일 밝혔다. 또 부산 전역에서 활동 중인 포럼 산하 장애인정책모니터단 단원들은 센터를 집중 조명하고 감시하겠다는 뜻을 전했다. 이어 부산장애인총연합회 전현숙 사무처장은 “이번 사건은 부산 내 장애인 17만 3800여 명의 인권이 외면된 것과 다름없는 만큼 시·구청은 재공사 예산을 반드시 투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정치권·장애인 단체 촉구

부산시도 현장 조사 대책 약속

노동당 사하지역위원회도 지난 15일 입장 성명을 발표하고 “비상대피로가 없는 결정적 결함이 발견된 상태로 개관하는 것은 법적 인증만을 들먹이는 구청의 행정 편의적인 행태”라며 “예산이 없다거나, 어쩔 수 없다는 무책임한 태도를 거두고 실질적 문제 해결에 나설 것을 요구한다”고 규탄했다.

이처럼 지역 정치권과 장애인 단체가 행동에 나서자 부산시는 뒤늦게 현장 조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주에 사하구청과 함께 센터를 전면조사할 예정”이라며 “문제점을 파악해 재공사를 면밀히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사하구청 관계자는 “3월 추경에서 12억~15억 원가량의 예산을 확보해 비상대피로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사하구의회 김소정 의원은 “장애인을 배려한 충남 홍성군 장애인체육관과 일본 장애인체육관 조례를 참고해 4월 이내에 조례를 개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곽진석 기자 kwak@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