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30일 상업적 목적의 고래잡이에 반대하는 국가들이 주도하는 국제포경위원회(IWC)에서 공식 탈퇴했다. 이에 따라 고래잡이 어부들의 밀집 지역인 야마구치현 시모노세키와 홋카이도 구시로에서 7월 1일 포경선이 출항해 31년 만에 상업 포경을 재개한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어부들이 상업적으로 고래를 잡는 곳은 일본 영해와 태평양과 오호츠크해의 배타적경제수역(EEZ)이다. 어부들은 이곳에서 밍크고래, 브라이드고래, 보리고래 등 3종의 고래를 대상으로 상업 포경을 할 수 있다.
포획 두수 상한은 쿼터로 제한되는데, 주요 20개국(G20) 오사카 정상회의를 앞두고 국제적 비판 여론을 의식해 발표를 미뤄온 일본 수산청이 조만간 공표할 예정이다.
1951년 IWC에 가입한 일본은 오랫동안 호주 등 멸종 위기에 처한 고래 어종을 보호하자는 쪽의 국가들과 대립해 왔다. 일본 내에서 상업 포경을 재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일본 정부는 지난해 9월 IWC 총회에서 1982년 이후 중단된 상업 포경의 재개를 제안했고, 이 안건이 부결되자 작년 12월 IWC 탈퇴를 결정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