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확진자가 10만 명 이상 나오면서 정부가 국외 지역에 대한 검역 강화와 입국 제한 등을 검토하고 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중대본 회의에서는 국외로부터의 환자 추가 유입에 따른 국내 감염 확산에 대해서는 일정한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다”며 특별 검역절차 확대와 입국 제한 조치를 단행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김 조정관은 “최근 세계적인 상황을 평가할 때 국내에서 지역사회 전파를 차단하고, 국외로부터의 추가 유입을 억제하는 조치가 병행돼야 하는 상황”이라며 대책 논의의 배경을 설명했다.
다만 아직 제재 대상이 되는 국가 등은 정해지지 않았으며, 입국 제한 같은 강력한 제재는 당장 적용될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이다. 최근 상황이 급격히 악화된 이탈리아 내 우리 국민을 전세기로 대피시키는 방안도 아직 검토되지 않았다고 중대본은 설명했다.
현재 방역당국은 중국 본토·홍콩·마카오를 ‘코로나19 오염 지역’으로 지정하고 있다. 이들 지역을 거쳐 입국하는 승객에게 일대일 발열검사·상태질문서 작성·자가진단 애플리케이션(건강상태 모바일 보고 시스템) 설치 등을 조치한다. 지난달 4일부터 후베이성 여권 소지자와 지난 14일간 후베이성에서 체류한 외국인에 대해선 입국을 제한하고 있다. 확진자 축소 논란을 사고 있는 일본의 경우, 9일부터 무비자 입국이 금지됐다.
그동안 정부는 국외 국가에 대한 제재에 대해선 신중한 입장을 보여 왔으나, 최근 국외 감염자들이 급증하면서 제재 강화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9일 오전 9시 기준으로 국내 확진자를 제외해도 전 세계에 10만 2000여 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
특히 국외의 경우 코로나19에 대한 선제적 대응이 이뤄지지 않아 숨은 감염자가 상당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도 제한된 진단을 하고 있지만, 홋카이도와 도쿄 등에서 집단발생이 계속돼 확진자 증가 폭이 상당히 가파르다. 이란 역시 진단 키트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하루 신규 확진자가 1000명을 넘어서고 있다. 김백상 기자 k103@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