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 신항 서측 컨테이너 부두 전경. 부산항만공사 제공
부산항 신항 장치장 부족에 대한 대안으로 공급된 서측 컨테이너 부두 배후단지 임시 장치장이 지반 침하 문제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준공 안 된 매립지를 임시로 사용하다 보니 빚어진 문제로, 추가 장치장 공급에도 차질이 우려된다.
9일 해양수산부와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 지난달 운영에 들어간 7만㎡ 규모의 임시 장치장에 이어 이달 말 4만㎡ 규모의 장치장이 추가로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화물 적체 탓에 부산항 신항 적컨(화물이 적재된 컨테이너) 장치율이 90~100%까지 치솟으면서 수출화물을 보관할 장소가 시급해졌기 때문이다.
준공 안 된 매립지 임시 사용
5억 들여 다졌지만 땅 꺼져
중장비·트레일러 통행 영향
임시용이라 보강비 투입 부담
바닥 깔 쇄석 부족 문제 등
추가 장치장 공급도 차질 우려
지난달 CJ대한통운(주)를 운영사로 선정해 문을 연 서컨 임시 장치장의 경우 지반 다지기 등에 5억 8000만 원의 예산이 투입됐음에도 중장비와 트레일러가 오가면서 일부 구간에 침하 현상이 생기고 있다. BPA 관계자는 “매립지라는 특성 탓에 수출화물 컨테이너를 1단만 쌓게 하는 등의 조치를 하고 있지만, 일부 땅꺼짐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추가로 공급될 4만㎡ 규모 장치장의 경우 기술적 검토와 지반 보강을 위한 조사에 시간이 걸리고 있고, 앞서 문을 연 장치장보다 더 많은 예산이 들 것으로 추산되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보다 안전하고 원활한 장치장 운영을 위해서는 지반을 더 단단하게 다질 필요가 있지만 짧게는 6개월, 길어야 1년가량 사용할 임시 장치장에 예산을 무한정 투입할 수도 없다 보니 항만 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게다가 장치장 바닥에 깔 쇄석 등의 수급도 원활하지 않아 추가 장치장 개장은 더 늦어질 수도 있는 상태다. 앞서 문을 연 CJ 운영 장치장도 쇄석 부족으로 일부 면적부터 우선 운영에 들어간 바 있다.
해수부는 늦어도 이달 말 운영사 공모를 하고, 다음 달 중에는 추가 장치장이 공급되도록 한다는 입장이다. BPA는 서컨 배후단지 외에도 8395㎡ 규모의 안골장치장을 대체 장치장으로 공급하기로 하고, 우선협상대상자로 (주)한진을 최근 선정하는 등 수출화물 보관 장소 마련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중소 화물 운송사들과 터미널 운영사들의 불만은 계속되고 있다. 한 운송사 관계자는 “임시 장치장 운영사로 왜 자꾸 대기업을 선정하는지 모르겠다”며 “BPA가 중소 업체들을 위해 공적으로 장치장을 운영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신항의 한 터미널 운영사 관계자는 “화물을 쌓아둘 데가 없어 하루하루가 전쟁이다”며 “장치장 대안을 마련했다고 대대적으로 홍보를 한 지 얼마나 지났다고 벌써부터 지반 침하 이야기가 나오냐”고 말했다.
한편, 신항 터미널 운영사들에 따르면 이날 기준 1부두의 적컨 장치율은 100.1%, 2부두 95.7%, 3부두 96.2%, 4부두 98.7% 등으로 각 부두에는 수출화물 반입을 위한 여유 공간이 사실상 없는 상태다.
부산항 신항 대체 장치장과 수출화물 임시 보관소 위치. 해양수산부 제공
이자영 기자 2you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