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중에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양산센터가 입주하는 양산산단 내 혁신지원센터 전경. 김태권 기자
내년부터 경남 양산에서 중대형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개발이 본격화된다.
양산시와 윤영석(양산갑) 국회의원은 정부의 내년도 당초예산에 ‘중대형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육상 실증 기반조성사업’의 마중물 역할을 할 5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사업은 국비 90억 원을 포함한 총 200억 원 규모에 달한다.
(재)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이하 한국조선해양연구원) 양산센터가 담당할 이 사업은 내년부터 2026년까지 중대형 선박의 하이브리드 엔진과 전방위 추진기를 개발하고 육상에서 실증은 물론 시험인증 기반까지 구축하는 것이다.
한국조선해양연구원은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전문생산기술연구소로 부산 영도구에 본원이 있다. 연구진이 300명에 달하는 연구원은 조선해양기자재와 친환경 선박, 전기추진 선박, 자율운항 선박, 신재생 에너지 분야 기술개발, 시험인증을 하는 기관이다.
연구원 양산센터는 양산지역 소재·부품·장비 산업 기술 고도화를 돕고 중소기업 혁신을 지원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것은 물론 국책사업인 ‘중대형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육상 실증 기반조성사업’도 수행하게 된다.
이 사업에 들어가는 예산은 국비 90억 원과 도·시비 110억 원 등 200억 원이다. 도·시비는 한국조선해양연구원 양산센터 건립에 들어가는 예산으로 지난달 말 관련 건물(양산산단 내 혁신지원센터)이 완공됐고, 이달 중에 양산센터가 입주할 예정이다.
양산시는 지난해 11월 13일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과 양산산단 혁신지원센터 내에 양산센터를 설립하기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산시 제공
이 사업이 완료되면 국제해사기구의 환경규제 강화에 따라 해가 갈수록 친환경 선박이 대세로 자리 잡는 상황에서 사전에 친환경 선박 기술의 핵심 인프라를 선점할 수 있다. 양산을 포함해 인근 지역 선박 기자재 업체들의 경쟁력 향상에도 상당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에 대한 예산 확보는 순탄하지 않았다. 정부의 내년도 당초예산안에 반영되지 않아 사업 추진에 적신호가 켜졌다.
하지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인 윤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를 포함한 중앙정부를 설득해 5억 원의 마중물 예산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앞서 시는 지난해 11월 13일 한국조선해양연구원과 양산산단 혁신지원센터 내에 양산센터를 설립하기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시와 윤 의원은 “이달 중에 혁신지원센터 내에 한국조선해양연구원 양산센터가 입주하는 것을 시작으로 관련 장비 구축에 나선다”며 “2026년까지 하이브리드 추진시스템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