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일 공식 선거운동이 개시된 6·1 지방선거가 반환점을 돌아 종착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선거공보물은 이미 각 가정으로 배달됐고, 27일과 28일 양일에는 사전투표가 실시된다. 이번 선거에서는 구청장·군수, 구·군의원, 교육감도 함께 뽑아야 하지만 부산 유권자의 관심은 아무래도 시장과 시의원을 고르는 일에 특히 더 쏠릴 수밖에 없다. 부산이라는 도시와 그 안에서 삶의 터전을 일궈 온 시민들의 미래에 시장·시의원은 지대한 영향을 끼치는 자리이기 때문에 그렇다. 그 자리를 노리는 후보마다 나름의 정책과 공약을 쏟아 내고 있다. 그들 중 과연 누구에게 표를 줘야 할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야 할 때다.
대표 공약 정도는 꼼꼼히 따져야
신문 등 언론매체 적극 활용 필요
선택이 쉽지 않다면 후보들의 대표 공약을 찾아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대표 공약에는 후보의 기질, 정치적 지향점, 당선 후 시정 방향 등이 종합적으로 녹아 있기 마련이다. 부산시장 후보 3명 중 더불어민주당 변성완 후보의 제1호 공약은 ‘글로벌 메가시티 중심도시’다. 국민의힘 박형준 후보는 ‘시민행복 15분 도시’를 공약의 맨 앞자리에 올렸다. 정의당 김영진 후보는 ‘월 1만 원 무제한 대중교통 이용’ ‘1000억 원 교육비 투자’ 등 복지밀착형 공약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들의 대표 공약이 지역 발전과 내 삶의 질 개선에 얼마나 적합한 것인지, 구체적인 실현 방안은 있는지 정도만 꼼꼼히 따져 봐도 선택이 한결 수월해진다.
대표 공약이라고는 하지만 어쩔 수 없이 막대한 예산과 시간이 들어가는 대형 사업들인지라 마음에 당장 와닿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먹고사는 문제, 즉 생활 속에서 체감할 수 있는 분야의 공약을 찾아 보면 판단에 도움이 된다. 활기를 잃은 지역 경제를 살릴 묘안이 있는지, 전국 꼴찌 수준인 부산의 고용률은 어떻게 끌어올릴 건지, 코로나19 사태로 큰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은 무슨 방법으로 도울 건지 묻고, 원전 핵폐기물 처리 등 시민 안전과 관련한 문제에 어떤 대안을 갖고 있는지도 살펴야 한다. 그에 대한 각 후보의 공약은 신문 등 언론매체에 이미 제시돼 있으니 약간의 노력만 기울인다면 충분한 답을 들을 수 있다.
부산시의 행정을 견제한다는 점에서 시의원의 역할은 시장 못지않게 중요하다. 부산의 경우 42명을 뽑는 지역구 시의원 선거에 90명이 후보로 등록했고, 5명을 뽑는 비례대표 시의원 선거에는 14명이 지원했다. 최소한 이들이 어떤 이력을 가진 인물들인지, 선거에서 무슨 말을 하는지 정도는 알고서 투표장으로 나서야 한다. 선거는 내 삶과 전혀 동떨어진 ‘저들만의 파티’가 아니다. 나와 내 자식의 미래가 거기에 좌우된다. 당이 마음에 안 들어서, 찍을 사람이 없어서, 승패가 뻔해서 등의 이유로 외면해선 안 된다는 이야기다. 내 삶에 이로운 지방정부와 지방의회를 만들고 못 만들고는 후보가 아니라 유권자의 손에서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