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인력’ 양성한다는데… 계약학과 수도권에만 ‘우우’

입력 : 2022-06-22 14:55:41 수정 : 2022-06-22 19:27:17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지난 20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학생들이 반도체 제작과정 교육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일 서울 관악구 서울대학교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 학생들이 반도체 제작과정 교육을 받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최근 ‘반도체 인력 양성’을 강력 주문한 가운데 반도체 인력 부족 문제 못지 않게 반도체 계약학과의 수도권 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홍석준 국회의원(대구 달서구 갑)은 22일 “국가경쟁력 확보를 위한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의 인재 양성에 있어 지역균형발전을 고려한 지방대학의 역량 강화에 정부가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석준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 2021년도 기준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는 총 17개(채용조건형 6개, 재교육형 11개)가 운영중이며, 이 가운데 15개가 수도권(서울·경기)에 집중돼 있다.

비수도권에서 운영되는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는 단 2개뿐으로, 공주대(충남), 한국폴리텍Ⅳ대학 청주캠퍼스(충북)의 ‘재교육형’ 2개가 고작이다. 나머지 15개(채용조건형 6개, 재교육형 9개) 계약학과는 수도권인 서울(6개)·경기(9개)에 편중돼 있다.

반도체 계약학과의 경우 산업체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는 ‘채용조건형’과 소속직원의 재교육 및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재교육형’으로 나뉜다.


국내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 17개

15개가 서울·경기 등 수도권 소재

기업들 확장·이전 때 비수도권 외면

국힘 홍석준 의원 “지방대 관심 절실”




이같은 반도체 계약학과의 수도권 쏠림 현상은 반도체 고급인력을 사실상 수도권에서만 독점적으로 배출하는 악순환 구조로 고착화되고, 이 때문에 심성전자·,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기업들은 시설 확장·이전 시 대상지역으로 비수도권을 외면하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대기업 취업이 보장돼 인기를 끌고 있는 반도체 관련 계약학과가 수도권 중심으로 운영되면서 수도권 집중화 현상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학령인구 감소로 지방대학의 위기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지역 인재 유출은 더욱 심해질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홍석준 의원은 “반도체를 비롯한 첨단산업 분야에 대한 지방대학의 인재 양성 역량을 강화하는데 정부가 더욱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늘려야 한다”면서 “기업들도 필요한 인재 육성을 위해 계약학과 운영을 비롯해서 지방대학과의 협력을 더욱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가 지역별 특화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투자를 하면서 이와 연계된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인프라도 함께 강화해야만 산·학·연을 통한 시너지 효과는 물론 지속가능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지역별 특화산업과 연계된 해당 지역 지방대학의 인재 양성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정부의 투자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반도체는 한국 경제를 주도하는 핵심 산업이자 국가 경제·안보의 핵심 분야로, 반도체 분야 인재 양성 없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경쟁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없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반도체 인력 부족이 미래 경쟁력 확보에 심각한 걸림돌이 되고 있다.

홍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산업기술인력수급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 분야의 부족인력은 2016년 1355명에서 2017년 1423명, 2018년 1528명, 2019년 1579명, 2020년 1621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한국반도체산업협회에 따르면 반도체 제조사들과 소재·부품·장비 기업 등 국내 반도체 업계에서 부족한 인력은 1년에 3000여 명 수준으로 파악된다. 수년간 누적돼온 인력난에 반도체 기업들은 국내 대학과 계약학과를 설립하며 자구책을 마련해왔지만 부족한 인력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홍 의원은 “단순히 반도체 생산 뿐만 아니라 반도체 관련 소재, 부품, 설계 분야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역량을 강화해서 이들 분야의 국내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