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사 바다거북 34마리 중 28마리 해양 플라스틱 먹은 흔적 있었다”

입력 : 2022-07-03 14:43:08 수정 : 2022-07-03 18:31:08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주요 플라스틱으로 육상 기인 일회용 포장재와 어업 기원 쓰레기 꼽혀
KIOST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저감 필요”

우리나라 연안에서 발견된 바다거북 사체. KIOST 제공 우리나라 연안에서 발견된 바다거북 사체. KIOST 제공

우리나라 연안에서 혼획·좌초·표류한 붉은바다거북(Caretta caretta), 푸른바다거북(Chelonia mydas) 등 바다거북 폐사체 4종 34마리 중 28마리가 해양 플라스틱을 섭식한 것으로 확인됐으며, 주요 플라스틱으로는 육상에서 바다로 유입된 일회용 포장재와 어업 기원 쓰레기가 꼽혔다고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이 3일 밝혔다.

KIOST 남해연구소 위해성분석연구센터 심원준·홍상희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생태원과 협력해 최근까지 동·서·남해안 등 우리나라 연안에서 발견된 총 61마리의 바다거북 사체에 대한 공동 부검을 진행했으며, 이 중 34마리에 대한 연구결과를 지난 2월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KIOST 연구팀이 바다거북 사체의 소화관 내용물 중 1mm 이상의 미세플라스틱과 중대형 플라스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바다거북 34마리 중 28마리에서 총 1280개(118g)의 플라스틱이 발견됐다. 이는 바다거북 1마리가 38개(3g)의 해양 플라스틱을 섭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바다거북의 폐사체 소화관에서 발견된 플라스틱의 종류. KIOST 제공 바다거북의 폐사체 소화관에서 발견된 플라스틱의 종류. KIOST 제공

플라스틱의 형태는 필름형(42%)과 섬유형(39%)이, 색상은 하양(42%)과 투명(23%)이, 재질은 폴리에틸렌(51%)과 폴리프로필렌(35%)이 각각 우세했고, 이 중 필름 포장재(19%), 비닐봉지(19%), 끈류(18%), 그물류(16%), 밧줄류(11%) 등이 다수 확인됐다. 초식성 바다거북에서는 섬유형 플라스틱이, 잡식성 바다거북에서는 필름형 플라스틱이 우세했으며 먹이습성에 따른 종별 차이 역시 확인되었다.

KIOST는 해양으로 유입된 플라스틱 쓰레기가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플라스틱 쓰레기의 영향평가 기술 개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해당 연구에서는 부유 중대형 플라스틱 쓰레기 오염, 해양생물의 얽힘 및 섭식 영향, 플라스틱 부착 외래종 및 병원체 이동, 서식지 훼손에 관한 연구를 수행 중이다.

김웅서 KIOST 원장은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바다거북을 보호하고 해양 플라스틱 오염의 지표로서 바다거북의 플라스틱 섭식 현황과 특성을 평가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며 “해양 플라스틱이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해양환경의 중요성을 일깨울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상희 책임연구원은 “이번 바다거북 폐사체 부검 결과는 해양 플라스틱이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바다거북에게 미치는 영향과 해양오염의 실태를 보여준다”며 “특히 육상에서 기인한 생활 쓰레기와 강이나 바다에서 조업 중 버려지는 폐어구 등 해양 쓰레기 저감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바다거북은 전 세계에 7종이 분포하며, 국제 환경단체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등을 중심으로 바다거북을 위기 등급별로 분류해 관리하고 있다. 생물다양성협약(CBD) 보고서에서는 플라스틱 섭식과 얽힘 피해를 가장 많이 받은 해양생물 6종에 붉은바다거북과 푸른바다거북을 포함시켰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