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 2025-07-20 15:55:03
경남도의회 경남·부산 행정통합 특별위원회가 오는 28일 부산시의회를 찾는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성패가 달린 시도민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했지만 여전히 주민 인식도는 저조한 데다 최근 경남 측 공론화위원장 사퇴까지 겹치며 지역 내에서 우려하는 분위기가 확산(부산일보 7월 15일 자 5면 보도)하자 부산시의회와 경남도의회가 직접 나선 것으로 보인다.
20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각 시도의회 행정통합 특별위원 16명은 오는 28일 부산시의회에서 회동을 갖는다. 앞서 지난 5월 각 특위 위원장(부산 박대근, 경남 허용복)과 부위원장(이준호, 우기수)이 만나 원활한 행정통합 추진을 위해 소통과 협력을 약속했는데 그에 따른 후속조치다.
부산과 경남에서는 이번 각 의회의 만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공론화위 활동이 5부 능선을 넘어서고 있지만 최근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까닭이다. 순차적으로 단계를 밟아온 부산·경남 행정통합이었지만 지난 11일 권순기 행정통합 공론화위 경남 측 공동위원장이 사퇴하면서 수장 공백 사태가 발생했다. 이미 공론화위 일정과 계획이 확정돼 있어 별다른 차질이 생기지 않을 것이라는 게 공론화위와 부산시, 경남도의 설명이지만 지역 내 갈등 기류가 감지되고 있는 경남의 공론화위 공동위원장이 물러나면서 행정통합을 간절히 바라온 시도민들 사이에서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또한 부산과 경남에서 각 4차례씩 주민 대상 토론회를 진행하고 있지만 일반 시도민들 관심은 여전히 저조하다는 점도 행정통합에 먹구름을 더하고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 실제로 현재 경남에서 열린 토론회 전체 일정의 절반 이상이 완료된 상태지만 이 자리에는 읍면동 주민자치위원, 이·통장 등이 자리를 채워 행사는 이미 형식적인 수준에 머문다는 혹평이 나오기도 했다.
이처럼 자칫 행정통합의 동력 자체를 잃을 수 있는 중차대한 시점인 만큼 부산시의회와 경남도의회가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이번 자리가 마련됐다는 게 부산, 경남 정가의 중론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울산까지 참여한 메가시티를 주장해 온 더불어민주당이 집권하면서 부산·경남 행정통합에 대한 정치권, 시민사회 관심이 아무래도 줄어든 상황”이라며 “여기다 설상가상으로 공동위원장까지 사퇴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결국 두 의회가 직접 나서지 않을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 아니겠느냐”며 “공론화위 지원 사격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