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회 행정통합 특위, 부산행… 지지부진 공론화위 지원 사격

앞서 지난 5월 부산시의회 특위, 경남 방문
최근 행정통합 이상 신호 감지되면서
우려 커지자 차단에 나선 것으로 풀이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 2025-07-20 15:55:03

부산시의회 부산·경남 행정통합특별위원회와 경남도의회 행정통합특위가 지난 5월 1일 경남도의회에서 상견례를 가졌다. 부산일보DB 부산시의회 부산·경남 행정통합특별위원회와 경남도의회 행정통합특위가 지난 5월 1일 경남도의회에서 상견례를 가졌다. 부산일보DB

경남도의회 경남·부산 행정통합 특별위원회가 오는 28일 부산시의회를 찾는다. 부산·경남 행정통합 성패가 달린 시도민 관심도를 높이기 위해 지난해 공론화위원회가 출범했지만 여전히 주민 인식도는 저조한 데다 최근 경남 측 공론화위원장 사퇴까지 겹치며 지역 내에서 우려하는 분위기가 확산(부산일보 7월 15일 자 5면 보도)하자 부산시의회와 경남도의회가 직접 나선 것으로 보인다.

20일 지역 정치권에 따르면, 각 시도의회 행정통합 특별위원 16명은 오는 28일 부산시의회에서 회동을 갖는다. 앞서 지난 5월 각 특위 위원장(부산 박대근, 경남 허용복)과 부위원장(이준호, 우기수)이 만나 원활한 행정통합 추진을 위해 소통과 협력을 약속했는데 그에 따른 후속조치다.

부산과 경남에서는 이번 각 의회의 만남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공론화위 활동이 5부 능선을 넘어서고 있지만 최근 이상 신호가 감지되고 있는 까닭이다. 순차적으로 단계를 밟아온 부산·경남 행정통합이었지만 지난 11일 권순기 행정통합 공론화위 경남 측 공동위원장이 사퇴하면서 수장 공백 사태가 발생했다. 이미 공론화위 일정과 계획이 확정돼 있어 별다른 차질이 생기지 않을 것이라는 게 공론화위와 부산시, 경남도의 설명이지만 지역 내 갈등 기류가 감지되고 있는 경남의 공론화위 공동위원장이 물러나면서 행정통합을 간절히 바라온 시도민들 사이에서는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또한 부산과 경남에서 각 4차례씩 주민 대상 토론회를 진행하고 있지만 일반 시도민들 관심은 여전히 저조하다는 점도 행정통합에 먹구름을 더하고 있는 요인이기도 하다. 실제로 현재 경남에서 열린 토론회 전체 일정의 절반 이상이 완료된 상태지만 이 자리에는 읍면동 주민자치위원, 이·통장 등이 자리를 채워 행사는 이미 형식적인 수준에 머문다는 혹평이 나오기도 했다.

이처럼 자칫 행정통합의 동력 자체를 잃을 수 있는 중차대한 시점인 만큼 부산시의회와 경남도의회가 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이번 자리가 마련됐다는 게 부산, 경남 정가의 중론이다. 지역 정치권 관계자는 “울산까지 참여한 메가시티를 주장해 온 더불어민주당이 집권하면서 부산·경남 행정통합에 대한 정치권, 시민사회 관심이 아무래도 줄어든 상황”이라며 “여기다 설상가상으로 공동위원장까지 사퇴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결국 두 의회가 직접 나서지 않을 수 없다는 판단을 내린 것 아니겠느냐”며 “공론화위 지원 사격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지면보기링크

포토뉴스

가장 많이 본 뉴스

  • 사회
  • 스포츠
  • 연예
  • 정치
  • 경제
  • 문화·라이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