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 2025-07-21 18:19:12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선 부산항이 대규모 컨테이너를 수용할 장치장과 더불어 쇄빙선 접안·관리 등이 이뤄질 전용 공간을 미리 확보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립부경대 주최로 21일 국립부경대 대연캠퍼스 동원장보고관에서 열린 ‘해양수도 부산의 미래 전망 포럼’에서 제시된 의견이다. 이번 포럼은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의 미래 전략과 비전’을 주제로 열렸다. 김영춘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북극항로, 항만물류, 블루푸드 등을 주제로 한 9개 강연이 이어졌다.
김 전 장관은 기조강연에서 "부산은 우리나라 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는 지정학적 조건을 갖추고 있어 해수부가 이전하고, 북극항로가 개척되면 인재와 기업을 끌어들이는 성장의 날개를 달게 될 것"이라며 "지자체와 중앙정부, 기업, 대학 등 모든 주체가 함께 부산을 한국의 해양수도는 물론, 동아시아의 글로벌 해양수도로 조성해 국가 발전을 견인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해수부 부산 이전과 더불어 부산 해양수도 전략의 한축으로 떠오르고 있는 북극항로와 관련해 김은우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항만산업연구실장이 부산항이 준비해야 할 로드맵을 제시했다. 김 실장은 쇄빙선의 입항부터 하역, 보관, 급유, 수리, 선용품, 인력 등 선박의 전 주기를 아우르는 항만서비스에 대응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먼저 북극항로가 개방되면 내빙선, 쇄빙선의 입항 수요가 증가되는데 이 선박들이 접안하고 유지·보수를 수행할 전용 공간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하역 부분에 있어서도 추가로 늘어날 물동량에 대비해 컨테이너 장치장을 추가로 더 확보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특히 대규모 냉동 컨테이너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냉동 컨테이너를 전용으로 쌓을 수 있는 체계적인 장치장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실장은 “현재 가장 활발히 이용되는 북동항로를 2010년엔 4척이 통행했지만, 지난해는 97척까지 늘었다”며 “북극항로의 경우도 물동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추가 장치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선박 수리 시스템은 물론 내빙선과 쇄빙선 등 특수 선박 부품들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는 체계 구축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특수 선박의 수리에 필요한 각종 부품들을 공급하는 업체들이 모인 클러스터를 조성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고품질의 제품을 폭넓게 확보하고 있어야 하며, 부품 주문부터 최종 공급까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 관리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더해 IMO(국제해사기구)가 북극항로를 운항하는 선박들에 대해 환경규제를 강화한 가운데, 부산항도 친환경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마련해야 할 상황에 놓였다. 김 실장은 “인프라 구축은 길게는 15년까지 걸린다. 지금부터 준비해야만, 2040년에 열릴 북극항로의 기회를 잡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산업계도 북극항로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 부산경제진흥원은 조선·항만·물류 분야 기업들과 지난 18일 민관 협력 간담회를 개최했다. 업체들은 북극항로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선 극저온 대응 기술 등 필수 분야의 R&D 지원 확대와 함께 유럽행 화물 확보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