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공항 확장안 폐기] 가덕도신공항, 제2부산항신항과 사업 부지 겹친다

입력 : 2018-12-25 19:45:16 수정 : 2018-12-25 22:22:37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오거돈 부산시장이 사실상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가 가덕도 동안에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제2부산항신항'과 가덕신공항의 사업지가 중복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부산시 “소음 등 양호 최적 입지”
가덕도 남북 나누는 '횡단 활주로'
가덕도 동안 제2신항 부지와 중복

신공항 추진 '부정적 영향' 분석
市 관계자 “중복 문제 안 된다
신항 일부 활주로 이용 방안도”

부두·활주로 간 '부등침하' 우려
한국당 “서안 해상 활주로 건립 땐
매립비용 등 건설비 폭증 가능성도”

가덕신공항 활주로 최적안과 충돌

25일 부산시와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부산시가 가덕도신공항 '최적의 입지'라고 주장했던 가덕도 횡단 활주로(투시도)는 상당 부분이 제2신항 계획의 부두시설과 중복된다. 부산시는 과거 가덕도신공항을 추진하면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평가요소를 근거로 가덕도와 주변 해상에 12개의 예비조사 후보지를 검토한 뒤 최종적으로 4개의 후보지를 정밀조사 대상으로 선정한 바 있다. 4개 후보지는 가덕도를 횡단하는 활주로를 건설하거나 가덕도 동안 혹은 서안에 인접한 활주로를 건설하는 방안이었다. 부산시는 이 가운데 가덕도를 남북으로 나누는 횡단 활주로를 건설하는 방안이 '최적 입지'라며 "장애물, 소음, 공역 등의 평가 결과가 양호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부산시가 해수부에 제출한 제2신항 건설 관련 자료를 보면 가덕도 동안에 건설될 제2신항 부두시설은 가덕신공항 활주로 우측 방향과 사업지가 중복된다. 제2신항을 가덕도 동안에 건설할 경우 기존 가덕도신공항 활주로 계획에 문제가 생기는 셈이다. 이에 대해 부산시 신공항추진본부 측은 "(기존에 발표했던)가덕도신공항 활주로 계획과 제2신항 계획의 부두시설이 중복되는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가덕도신공항 활주로에 대해선 다양한 대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신공항추진본부 측은 "가덕도신공항도 제2신항도 아직 구체적인 계획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에 향후 구체안을 만들면서 조정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활주로 대안, 공사비 폭증 우려

부산시는 최근 17조 원 규모의 제2신항 건설사업을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사업으로 신청하는 등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였다. 제2신항 입지를 놓고 경남도와 경쟁을 하고 있는 부산시는 가덕도 동안에 제2신항이 건설되면 더 많은 선석을 확보할 수 있어 2050년까지 물동량 처리에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그러나 제2신항 유치를 추진하면서 부산시가 가덕도신공항 건설에 미치는 영향을 제대로 검토하지 않은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부산시가 과거에 검토했던 가덕도신공항 활주로 대안 4가지 가운데 3가지는 제2신항 사업지와 중복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유일하게 가덕도 서안 남북 방향으로 활주로를 건설하는 제4안의 경우 부산시가 해외의 공항계획 전문 컨설턴트가 제안한 입지평가 분석도구를 적용해 산정한 적합도 평가에서 가덕도 동안이나 횡단 활주로에 비해 적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

가덕도 동안에 제2신항을 만들 경우 가덕도신공항의 활주로 대안이 대폭 줄어들게 돼 사업 추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제2신항 건설사업 예타면제 신청을 담당했던 부산시 관계자는 "가덕도신공항과 제2신항의 사업지가 중복되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면서 "사업 조정 과정에서 제2신항 부지 일부를 활주로로 활용하는 방안도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매립 방식 등의 차이로 인한 부두 시설과 활주로 시설 간의 부등침하(불균형 침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자유한국당 관계자는 "부산시가 당초 제안한 제2신항의 규모(총 24선석)를 확보하기 위해선 사업지를 최대한 확보해야 하고 이 때문에 가덕도신공항 활주로 계획과 충돌이 불가피하다"면서 "부산시가 매립비용을 줄이기 위해 가덕도를 횡단하는 활주로 계획을 추진했던 사실을 감안하면 가덕도 서안 해상에 활주로를 건립할 경우 건설비가 폭증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