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기사보기
  • 지면보기
  • 사회
  • 정치
  • 경제해양
  • 문화
  • 라이프
  • 스포츠연예
  • 오피니언
  • 경남울산
  • 사람들
  • 펫플스토리
  • 뉴스레터
  • 부산시정뉴스
  • 뉴스인뉴스
  • 동네북
  • 특성화고 소식
  • 대학소식
  • 전문대소식
  • 해피존플러스
  • '상수도 요금 현실화' 전국 지자체, 물값 '도미노 인상' 시간문제

    입력 : 2016-04-25 14:59:4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상수도 요금 현실화'라는 정부 방침에 따라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이 수돗물 가격을 일제히 인상하거나 인상할 계획이다.
     
    최근 정부는 상수도 요금을 내년까지 생산원가 대비 현실화율 평균 90%까지 올리라는 방침을 정했다.
     
    올해 초 환경부가 발표한 상하수도 통계자료에 따르면 전국 161개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지방상수도의 요금 현실화율은 평균 76.1%다.
     
    먼저 전국 특·광역시 중 가장 낮은 현실화율(66.4%)을 지적 받은 세종시는 올해부터 2020년까지 단계적으로 올리기로 하고 지난 1월 t당 40원을 인상했다.
     
    강원도 홍천군은 조례를 일부 개정, 이달부터 상수도 요금을 3년간 해마다 15%씩 인상키로 했다. 1999년 이후 15년 만이다.
     
    수돗물 1t당 3천840원에 생산해 637원에 공급했던 경북 성주군도 12년 만인 10월부터 2018년까지 3년간 단계적으로 상수도 요금을 인상한다. 성주군의 가격 현실화율은 전국 최저 수준인 16%대였다.
     
    이처럼 행정자치부의 권고에 따라 지자체별로 80%에서 최대 100%까지 현실화율을 맞춰야해 전국 모든 지자체의 수도요금 도미노 인상이 이뤄진 것.
     
    그간 재정이 열악한 지자체가 노후 수도관 관리에 신경을 못 쓰다보니 새는 물이 많고, 그 부담은 결국 주민에게 돌아가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행자부는 이번 현실화율 인상으로 3천억원의 추가 수익을 기대하고 있다. 이는 지방 상수도 경영 개선 및 노후 수도관 관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현실화율이 낮은 지자체는 한 번에 큰 폭으로 물값을 인상하는 데 부담을 느끼고 있다.
     
    세종시 관계자는 "갑자기 요금을 인상하면 주민들 반발이 예상돼 조심스럽다"면서도 "싼 물값으로 적자가 쌓이는 구조여서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사진=부산일보 DB

    김상혁 기자 sunny10@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