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주부산 미국 영사관을 포함해 해외 미국 대사관과 영사관 총 27곳을 폐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트럼프 행정부의 정부 효율화 일환으로 검토하는 내용으로 아시아에서는 부산 영사관이 유일하게 꼽혔다.
15일(현지 시간) 미국 CNN 방송은 입수한 국무부 내부 문서를 바탕으로 국무부가 전 세계 대사관 10곳, 영사관 17곳의 폐쇄를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 세계 미국 대사·영사관 폐쇄안은 일론 머스크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중심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연방 정부 축소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나온 국무부 개편 방안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이 이 폐쇄안에 서명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 문서는 각국 대사관과 영사관을 폐쇄를 추천하는 근거로 지역국과 미국 내 타 부처의 피드백, 영사 업무량, 미국 직접 고용직 1명당 비용, 시설 상태, 보안 등급 등을 언급했다.
만약 이대로 부산 영사관이 폐쇄된다면 서울 주한미국대사관이 부산 영사관 업무를 통합해 처리할 것으로 보인다. 부산 영사관은 1984년 중구 대청동 미 문화원 건물(현 부산근현대역사관)에 처음 들어섰다. 이후 1994년 4월부터 비자 발급 업무를 중단했고, 미국의 경비 절감 방침에 따라 1998년 8월 폐쇄됐다. 하지만 폐쇄 9년 만인 2007년 부활해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부산 영사관은 부산, 울산, 경남, 대구, 경북, 제주 지역의 한미 교류 증진과 이 지역을 대상으로 사업하는 미국 기업을 지원하는 업무를 맡고 있다. 지금도 비자 업무는 서울 미국대사관에서 처리하고 있는 만큼 실제 시민들에게 불편이 있지는 않겠지만, 부산의 위상 측면에서의 타격은 크다. 미국 정부가 한국 제2의 도시 부산에 공식 공관을 두고 한미 우호 증진을 위해 노력해 왔다는 상징성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조영미 기자 mia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