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기사보기
  • 지면보기
  • 사회
  • 정치
  • 경제해양
  • 문화
  • 라이프
  • 스포츠연예
  • 오피니언
  • 경남울산
  • 사람들
  • 펫플스토리
  • 뉴스레터
  • 부산시정뉴스
  • 뉴스인뉴스
  • 동네북
  • 특성화고 소식
  • 대학소식
  • 전문대소식
  • 해피존플러스
  • ‘외모 지적에 바퀴벌레 질문’… ‘B급’ 넘어 ‘F급’ 평가 나오는 국힘 경선 토론회

    입력 : 2025-04-21 10:13:25 수정 : 2025-04-21 11:19:0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홍준표, 토론 중 한동훈 외모 지적
    “키높이·생머리”… 도 넘은 설전 비판
    한동훈 캠프 “B급 질문 유감” 반발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서 B조 후보들이 시작 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 연합뉴스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21대 대통령 후보자 1차 경선 조별 토론회에서 B조 후보들이 시작 전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철우·나경원·홍준표·한동훈 후보. 연합뉴스

    국민의힘 대선 경선 1차 조별 토론회가 후보들의 질문 수위와 태도로 도마에 올랐다. 정책 대결보다 외모를 겨냥한 발언이 주목받고, 후보들의 불성실한 답변 태도까지 겹치며 대선주자를 검증하는 공식 토론회의 본질을 흐렸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지난 20일 서울 강서구 ASSA아트홀에서 열린 B조 토론회에서 홍준표 후보는 한동훈 후보에게 “청년의꿈 사이트에서 물어보라고 해서 묻는다”며 “키도 크신데 뭐 하러 키높이 구두를 신냐”고 질문했다. 이어 “생머리냐, 보정 속옷이냐는 질문은 유치해서 안 하겠다”고 덧붙이자, 한 후보는 “유치하시다”고 응수했다. 대선 후보 토론회에서 상대 후보의 외모를 언급하는 질문이 공개적으로 제기된 셈이다.

    홍 후보는 토론 직후 기자들과 만나 “재밌자고 한 것”이라며 “그거 아니면 (토론회에서) 재밌는 게 뭐 있냐”고 말했다. 경선 흥행을 위한 의도였다고 해명했지만, 당 안팎에서는 “정책 대결의 장에서 진정성을 해친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한동훈 캠프는 즉각 반발했다. 김근식 정무조정실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정치 선배라면서 술자리 뒷담화에서나 할 농담을 경선 토론회에서 거리낌 없이 하고 있다”며 “국민의힘 경선 퀄러티가 너무 떨어진다”고 비난했다.

    그는 “지지율 선두권 후보가, 그것도 당대표까지 지낸 인물이 B급 질문으로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며 “국민 관심사인 계엄 문제는 피하면서 외모엔 거리낌이 없다”고 홍 후보를 꼬집었다. 박상수 대변인은 “한 후보 키는 180cm가 넘는다. 유치한 공격이 유튜브 중계에만 나간 게 다행”이라며 홍 후보의 질문 의도를 문제 삼았다.

    홍 후보는 같은 날 페이스북을 통해 반격에 나섰다. 그는 “외모에 집착하고 셀카만 찍는 건 나르시시스트”라며 “정치를 계속하려면 이미지 정치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 또 “앞으로 정치 계속 할려면 이미지 정치 하지 말라고 한 질문을 그것도 못 알아 듣고 B급 질문 운운한다”며 “그 캠프에는 B급 인사들만 모여 있는 모양”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내가 계엄 당시 당대표였다면 그런 사태는 애초에 없었을 것”이라며 “총선 참패도, 탄핵도 없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논란은 외모 발언에 그치지 않았다. 이날 진행된 ‘밸런스 게임’ 코너에선 “바퀴벌레로 다시 태어나기 vs 자동차 바퀴로 태어나기”, “검사 사칭범 vs 입시 비리범 중 누구를 변호사로 선임하겠냐”는 질문도 등장했다. 일부 질문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조국 전 장관을 우회적으로 겨냥한 것으로 해석됐다. 홍 후보와 나경원 후보는 해당 질문에 “둘 다 싫다”, “답변하고 싶지 않다”고 반응해 질문 자체뿐 아니라 후보들의 불성실한 태도 역시 논란을 키웠다.

    국민의힘은 청년층 참여를 반영해 예능적 요소를 일부 도입했다고 설명했지만, 후보들 사이에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전날 A조 토론회를 마친 안철수 후보는 “좀 더 심도 있는 정책 토론이 아쉬웠다”고 평가했고, 김문수 후보 역시 “내용과 밀도가 부족했다”고 말했다. 김영우 전 의원은 “청년정당, 미래 정당이 되려면 국민이 듣고 싶은 말로 승부해야 한다”며 “가벼운 형식이 본질을 대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