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중세 봉건시대에 기사(Knight)가 있었다. 문자 그대로 '말을 탄 무사'라는 뜻의 라틴어 'Caballarius'에서 비롯된 개념. 왕이나 영주, 교회와 주종관계를 맺고 봉건제도를 버티는 축으로 기능했다. <아서왕 전설> <니벨룽의 노래> 등 서양의 옛 문학작품 속 기사는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인간형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론 그렇지 못했다. 그들은 무기와 갑옷을 독점한 채 평민들을 상대로 약탈을 일삼았고 심지어 강간도 마다하지 않는 '폭력집단'이었다.
비슷한 연대에 조선에는 선비(士)가 존재했다. '학식과 인품을 갖춘 사람'을 일컫는 말로 특히 유교이념을 구현하는 인격체 또는 신분계층을 말한다. <대학>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이 곧 선비의 길'이라고 했다. '스스로 닦고 수양한 후 남을 다스린다'는 뜻이다.
서양 중세 귀족문화 정수 기사도
기독교 바탕으로 겸손·관용 추구
16세기 화기 발달 신사도로 변모
근대 시민의식·교양으로 계승
명분과 절개 숭상한 선비 정신
'인간은 자연의 일부' 인식 바탕
물질적 욕망 절제하며 살아가
서당 등 이웃 간 공동체 조직도<신사와 선비>는 서양의 기사도와 뒤이은 신사도의 특징과 역사를 탐구하고, 이를 한국 전통사회의 주역인 선비와 비교·분석한다. 독일 튀빙겐대 철학 박사로 한국과 독일의 여러 대학에서 교수 생활을 하며 선비에 관한 다양한 저서를 펴냈던 저자는 "서양 중세의 기사도는 조선의 선비가 사는 법과 상당한 유사점이 있었다"며 "그들은 명예를 목숨처럼 소중히 여겼고, 책임감도 투철했다"고 말한다. 한편으론 칼을 무기로 자신이 섬기는 영주(왕, 주교 포함)의 명령에 절대 복종했던 기사와 붓을 들고 도덕과 이념에 헌신해 때로는 왕명(王命)도 거부했던 선비의 차이점도 설명한다.
책에 따르면 서양 중세 귀족문화의 '정수'로 꼽히는 기사도는 오늘날 '조폭'과 다름없는 행태를 보이며 사회문제로 떠오른 기사들을 제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기사들이 도덕과 예의를 내면화하도록 함으로써, 사회안정을 꾀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 시기 유럽 사회를 지배했던 로마교황청은 기사들에게 도덕적 규범을 충실히 실천하기를 요구했다. 이에 따라 기사는 기독교 신앙에 기초해 이웃을 사랑하고 겸손을 실천하며 타인에 대한 관용을 베풀겠다고 서약했다. 여성(과부)과 아동(고아)으로 대표되는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는 데 앞장서고 대신 기사 본연의 임무를 잊지 않아 아무리 강한 적을 만나더라도 용맹하게 싸우겠다고 선언했다. 이것이 바로 기사도였다.
16세기 들어 신형 화기(火器)가 발달하자 기사 계층은 군사적 효용성이 사라지면서 몰락했다. 토대를 잃게 된 기사도는 신사도로 변모했다. 이 시기 작위를 갖지 못하고 기사 계층이 일부 포함된 영국의 향촌 지주 젠트리(Gentry) 계층은 인내심과 근면성, 독창성 등 선대의 가치관과 행동양식을 유지하며 신사도로 발전시켜 나갔다. 인클로저 운동(Enclosure Movement)과 산업혁명을 거치며 젠트리가 자본가로 성장하면서 그들의 가치관인 신사도는 공교육에 스며들었고 이는 근대적인 시민의식과 교양으로 계승됐다고 책은 설명한다.
![]() |
돈키호테는 '자칭' 기사였으나 후세에는 무모한 사람의 대명사가 되었다. 프랑스 화가 구스타브 도레가 그린 기괴한 모습의 돈키호테 삽화. 사우 제공 |
![]() |
선비의 이상형은 자아의 인격을 완성해 타인을 평안하게 하는 것이었다. 정홍래 작 '소나무와 선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