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신춘문예-평론 심사평] 대중영화에서 영화사의 흔적 읽어 낸 참신한 감각

입력 : 2018-12-31 19:18:2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허문영

22편의 영화평론과 8편의 문학평론이 평론 부문 응모에 참여했다. 좋은 글들이 많았고, 심사를 핑계로 읽으면서 많이 배웠다. 물론 좋은 글이 곧바로 좋은 평론이 되진 않을 것이다. 응모작 중 적지 않은 수가 영화와 문학 작품을 젠더 혹은 외국노동자 등 사회적 의제로 환원하거나 신화의 현대적 구현으로 다루었다. 뛰어난 평론도 적지 않았으며, 네 편을 두고 마지막까지 고심했다.

'0과 1이 된 링컨과 릴리언 기쉬 :'혹성탈출: 종의 전쟁'에 스며든 초기영화 이미지'는 '혹성탈출: 종의 전쟁'이라는 대중영화에서 영화사의 흔적을 읽어 내는 참신하고 창의적인 평론이었다. '유리 너머 어렴풋이-이창동론'은 폭넓은 시야로 이창동에 관한 기존 담론을 재검토하는 메타비평을 경유해 이창동 영화세계의 심장에 다가가려는, 날카롭고 도전적인 글이었다. '접면의 시학: 신용목론'은 신인평론가의 것이라고 믿어지지 않는 대담하고 리드미컬한 문체로 '경계 위에서 발화된' 시어들의 곡절을 탐색한다. '끝내 사라지지 않는 것 - 황인찬론'은 '이데아'를 키워드로 시인 특유의 담담한 시어들의 아득한 이면을 성실하게 파고들어 설득력 있게 분석해낸다.

이 글들에 우열이 있다고 믿지 않는다. 만일 여러 심사위원이 있었고 다른 분이 네 편 중 하나를 선택했다면 나는 진심으로 수긍했을 것이다. 고민을 거듭한 끝에 결국 '0과 1이 된 링킨과 릴리언 기쉬'를 당선작으로 뽑는다. 영화를 오직 이미지의 문제로 접근하는 방식은 물론, 이 평자가 지닌 그리고 요즘 들어 더욱 희귀해진 영화사에 대한 교양과 계보학의 감각에 마음이 쏠렸기 때문이다. 심사위원 허문영

금정산챌린지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