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말부터 예고된 부산시 ‘인사 회오리’가 현실화됐다. 부산시는 9일 자로 4급 이상 직위 3명 가운데 2명을 물갈이하는 파격 인사를 단행했다. 이와 함께 정현민 행정부시장이 이날 사의를 공개적으로 밝혀 ‘인사 충격’은 더욱 컸다.
부산시 파격 인사 단행
4급 직위 26% 여성 발탁
전통적인 직렬 구도 파괴
정부, 부단체장 확대 추진
市 부시장 3명 시대 기대
부산시는 7일 4급 이상 직위 인사를 발표하면서 스스로 ‘관습을 혁신하는 파격인사’라고 밝혔다. 시는 9일 자로 4급 이상 직위 63%를 물갈이하면서 4급 과장급 직위에 5급 중간간부들을 전진 배치해 눈길을 끌었다. 과장급 직위 80명 가운데 무려 13명을 현직 5급 중간간부로 배치한 것이다. 대표적으로는 행정5급인 김재학 공보담당관실 보도지원팀장이 상급 직위인 2030엑스포추진단장 직무대리로, 이봉걸 안전혁신팀장이 상급 직위인 자원순환과장 직무대리로 직위를 옮기게 됐다.
이번 인사 대상 3급 국장급 직위 26명 중에서도 4명의 4급 간부가 직무대리 자격으로 국장급 직위에 배치됐다.
시 이병진 기획관리실장은 “관행적인 연공서열 중심의 보직 배치를 타파하고 역량 있는 5급 중간간부를 4급 직무대리로 대거 배치해 핵심 현안 해결을 맡겼다”고 말했다.
여성 발탁도 두드러진 특징이다. 통상 5~6명 선에 그치는 4급 직위 여성 공무원이 이번에는 10명으로 늘었다. 4급 직위 인사 대상의 26%를 여성이 차지하게 됐다.
전통적인 직렬 구도를 파괴한 것은 내부 기술직에 대한 경고로 풀이된다. 시는 기술직 최고위 직위인 도시계획실장에 행정직인 이준승 일자리경제실장을 임명했다.
시는 이날 인사 설명자료에서 “특정 세력이 장기간 형성해 온 외부와의 결탁 구조를 과감히 깨뜨리겠다는 강력한 메시지”라고 밝혔다.
시는 예고한대로 이어지는 인사에서 시 직속·산하기관에 5·6급 공무원을 배치해 시정 철학 맞춤혐 ‘혁신 드라이브’를 건다는 방침이다.
한편 7일 “공직을 떠나고자 한다”는 뜻을 전한 정 부시장은 “이번 일은 법적 책임을 떠나 공직자의 적절한 처신에 대해 많은 것들을 생각하게 했다”고 밝혔다. 정 부시장은 ‘엘시티 선물 파문’과 관련해 이날 부산시 감사에서 ‘내부 종결’ 처분을 받아 명예를 어느 정도 회복했다. 정 부시장은 “최근 저와 관련한 언론 보도로 인해 억울함과 답답함이 있었으나 대외적으로는 침묵으로 일관하며 시 감사 결과를 기다렸다”면서 “지금이야말로 공직을 마무리하고 유능한 후배들에게 길을 열어줘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시는 이날 엘시티 사건에 연루된 시 현직 간부 공무원 4명에 대한 감사결과 처분심의회에서 1명 중징계, 1명 경징계, 2명 내부 종결 처분을 결정했다.
같은 사건에 연루된 현직 고위 공무원 가운데 감사에서 내부 종결 판정을 받은 1명은 곧 명예퇴직할 예정이다. 중징계 처분이 결정된 1명은 명예퇴직 의사를 밝혔으나 징계 절차가 마무리되지 않아 대기 상태로 시의 최종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한편 정부가 ‘지방자치단체 자율성 확대’를 위해 광역자치단체 부단체장을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부산시가 부시장 3명 시대를 맞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부산시와 행정안전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방자치법 전부개정안을 마련하면서 ‘현행 시·도의 행정·정무 부시장 외에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부단체장 지위 1개(인구 500만 명 이상의 시·도는 2개)를 조례로 둘 수 있도록 자율화하고 정무직·일반직·별정직 지방공무원으로 임명’하는 방안을 추진중이다. 지방자치법 개정이 이뤄질 경우 서울과 경기 등은 부시장, 부도지사 자리가 2개 더 생기고 부산은 부시장 자리가 1개 더 생기게 된다.
이현우·김종우 기자 hooree@busan.com
이현우 기자 hoore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