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인공섬이 내년 부산시장 보궐선거 이슈로 다시 등장했다. 부산 인공섬은 30여 년 전부터 수차례 추진돼 왔다. 만성적인 용지 부족을 일거에 해결할 수 있고, 도시의 이미지를 높일 랜드마크 개발이 가능해 여러 차례 주목받았다. 그러나 환경 훼손, 재원 조달 등의 벽에 번번이 가로막혔다.
30년 전부터 추진돼 온 정치 공약
도시 이미지 높일 랜드마크로 주목
재원 조달 등 현실적 대안 전제를
■30년 전 첫발
부산 인공섬 계획은 1989년 본격화됐다. 당시 안상영 부산시장은 영도구와 서구 송도 사이 남항 일대에 826만 ㎡ 규모의 ‘해상신도시’를 건립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조성 예산 규모만 5조 6300억 원. 당시 해상신도시는 일본 오사카만 고베항에 건설된 인공섬 ‘포트피아’를 모델로 삼은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계획은 1994년 5월 제28대 정문화 부산시장에 의해 전면 중단됐다. 1992년 해운항만청 승인이 떨어지는 등 탄력이 붙었으나, 재원 조달과 환경 훼손에 대한 부정적 여론에 막혔다. 낮은 사업성, 부족한 용역비 등 현실적 문제도 제기되면서 사업을 총괄하는 부산발전추진기획단이 결국 해체됐다.
2000년대에 들어선 뒤에도 부산 인공섬은 자주 이슈로 부각됐다. 2000년에는 부산시가 ‘2차 공유수면매립계획’을 발표하면서 인공섬에 대한 불씨가 다시 살아나는 듯했으나, 이듬해 해양수산부가 매립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결국 무산됐다. 2006년에도 당시 한나라당 부산시장 경선에 출마한 권철현 의원이 수영만 앞바다에 인공섬 건립을 추진했다. 당시 인공섬으로 인한 방문객이 에버랜드를 웃돌 것으로 예상했다. 2010년에는 광안리 앞바다에 인공섬을 만드는 플로팅 아일랜드 조성사업을 부산시가 추진하기도 했다.
정부 차원의 인공섬 건립도 검토됐다. 2013년 국토교통부가 부산항을 미항(美港)으로 만들겠다며 영도 인근에 인공섬을 짓는 방안을 거론한 것이다. 이는 이전 안 전 시장이 추진한 인공섬과 성격이 크게 달랐다. 안 전 시장은 항만, 상업, 업무, 주거 기능을 갖춘 해상신도시를 추진했으나, 국토부는 환경 저해시설을 한데 모으는 역할을 기대했다. 선박수리 기업, 예·부선 및 계류시설, 저유탱크 등 경관 훼손 시설을 이전시켜 함께 관리하겠다는 계획이었다.
■가덕신공항 지원 vs 정치적 술수
부산 인공섬 추진이 공론화되더라도 첩첩산중이다. 국민의힘 이진복 전 의원은 인공섬이 가덕신공항 건립 이후 부산의 동서 연결고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더불어 정체된 부산 원도심을 발전시키는 통 큰 대안으로 여기고 있다.
그러나 인공섬 건립에 따른 부작용 고려 없이는 이번 구호가 ‘정치적 쇼’에 그칠 거라는 우려가 나온다. 앞서 수차례 추진이 무산된 것도 환경 훼손 문제가 가장 컸다. 환경단체는 부산 남항 앞바다에 인공섬이 건립되면 해수와 수생태계가 큰 혼란을 겪을 것으로 내다봤다. 해수가 북항에서 영도다리를 거쳐 빠른 유속으로 남항으로 흘러가는데, 인공섬이 생기면 이 같은 흐름이 깨져 해수 정화력이 떨어진다는 것이다. 또 대규모 태풍이 오면 인공섬으로 인해 조류가 주변 지역으로 강하게 쓸려가면서 큰 피해가 우려된다고 말한다.
부산녹색연합 이남근 대표는 “잔재물 하나가 바닷속에 들어와도 주변 지역에 모래가 쌓이거나 유실되는 등 연쇄적인 문제가 발생한다”면서 “이를 무시한 채 인공섬이 계속 추진된다면 시민적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