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선거구 조정과 관련, ‘어디를 나눌지’만큼 ‘어떻게 나눌지’도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선거구 분할 선을 어떻게 긋느냐에 따라 각 정당의 ‘손익’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이다.
동래구의 경우 선거구 분할이 비교적 쉽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접한 온천동과 사직동을 하나의 선거구로 묶고 나머지 동을 묶으면 인구 하한을 넘기는 선거구 2개가 만들어진다. 동래구의 온천 1~3동과 사직 1~3동의 인구를 합하면 13만 7000여 명이다. 안락동, 명장동, 수민동, 복산동, 명륜동을 묶으면 13만 5000여 명의 선거구가 탄생한다. 온천천을 경계로 두 개의 선거구 인구를 적절히 나눌 수 있는 셈이다.
동래구의 경우 전반적으로 보수정당 우위의 선거 지형을 이뤄 어떻게 나누더라도 선거 결과에 큰 영향은 없다는 분석도 있다.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 소속이던 김희곤 후보는 동래구 행정동 가운데 사직2동에서만 더불어민주당 박성현 후보에게 뒤졌을 뿐 나머지 모든 동에서 50%가 넘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온천동과 사직동을 묶어 선거구를 만들 경우 나머지 행정동과의 유불리를 계산하기 어려운 셈이다.
북구는 사정이 다르다. 선거구를 어떻게 나누느냐에 따라 선거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기존 북강서갑 지역구의 경우 구포 1~3동, 덕천 1~3동, 만덕 1~3동의 투표 성향이 다르다. 21대 총선 결과를 보면 구포의 경우 미래통합당 박민식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전재수 후보가 백중세였다. 덕천에서는 박민식 후보가, 만덕에서는 전재수 후보가 우위를 보였다. 21대 총선 때 북강서갑 지역구에서 전 후보가 이겼지만 표 차이는 2000표에도 미치지 못했다.
강서구가 분구되고 북구가 다시 갑·을로 나뉠 경우 구포, 덕천, 만덕 1~3동 가운데 하나를 화명·금곡동으로 붙여야 한다. 북구 화명동과 금곡동은 1월 인구가 12만 3603명으로 선거구 하한 미달이기 때문이다.
북구 화명동과 접한 행정동은 덕천 2동이다. 덕천 2동은 과거에도 북강서갑·을 지역구 획정 과정에서 ‘게리맨더링’이라는 지적이 나왔던 지역이다. 덕천 1동은 화명동과 산지로 접해 있고 덕천 3동은 화명동과 떨어져 있다. 덕천 2동이 화명·금곡동과 합쳐질 경우 구포, 덕천, 만덕 지역구는 민주당에 더 유리해진다.
반면 화명·금곡 지역구는 국민의힘에 더 유리해질 수 있다. 21대 총선에서 화명·금곡동은 미래통합당 김도읍 후보 득표율이 민주당 최지은 후보에 10%포인트 이상 앞섰다. 분구되는 강서구에서도 현역 의원인 김도읍 의원의 지지세가 높다. 그러나 민주당 지지세도 상당해 ‘바람’이 불 경우 민주당이 당선자를 낼 가능성도 크다.
‘민주당 바람’이 거세게 불었던 2018년 ‘제7회 지방선거’ 당시 강서구는 광역비례대표 민주당 득표율이 54.6%에 달했다. 이는 자유한국당(31.8%), 바른미래당(5.9%) 등 보수정당을 모두 합한 수치보다 높았다. 당시 민주당의 정당 득표율 2위는 기장군으로 51.8%였다. 사상구(51.5%), 북구(51.3%), 사하구(50.9%), 영도구(50.6%) 등도 50%를 넘겼다. 강서구는 ‘국민의힘 바람’이 거셌던 지난해 ‘제8회 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 광역비례 정당득표율이 37.5%로 부산에서는 가장 높았다.
동래와 북구의 분할 여부는 기존 정치인들의 ‘지역구 복귀’와도 관계가 있다. 동래는 국회의원을 지낸 이진복 청와대 정무수석, 북구는 박민식 보훈처장의 복귀 무대가 될 수 있다는 분석 때문이다. 이 수석은 동래 분구 여부와 관계없이 출마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분구될 경우 지역구 재출마가 더 용이해질 전망이다. 박 처장 역시 지역구였던 북구가 분구돼 새 선거구가 마련되면 복귀 명분을 만들 수 있다는 분석이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