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유치 경쟁이 ‘국가 총력전’으로 진행되면서 ‘엑스포 비용’에 대한 관심도 높다. 엑스포는 수조 원의 자금이 투입되는 세계적 초대형 이벤트다. 정부는 2030부산월드엑스포 비용 규모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지만 2025년 일본 오사카엑스포 등을 감안하면 3조~4조 원 안팎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트렌드는 수입과 지출 일치
국제박람회기구(BIE) 등에 따르면 최근 엑스포는 수입과 지출을 일치시키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2015년 이탈리아 밀라노엑스포와 오사카엑스포가 대표적이다. 엑스포 수입의 상당 부분이 정부 지원금인 탓이다. 엑스포 행사 재정에서 이익을 남기기보다는 관광업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에 집중하는 방식이다.
일본이 오사카엑스포 비용을 추계한 공식 자료는 2017년 유치제안서와 2020년 마스터플랜 등이다. 유치제안서 이후 마스터플랜 등에서 일부 조정이 이뤄져 비용도 달라졌다. 부산시 관계자는 “오사카엑스포 행사 규모는 유치제안서 제출 당시보다 줄었다”면서 “정확한 자료를 요청해도 공개하지 않는다. 홈페이지 자료를 통해 현황을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이 유치제안서에서 예상한 오사카엑스포 개최 비용은 25억 4100만 달러였다. 우리나라 돈으로 약 3조 3236억 원에 달했다. 이 가운데 건설비가 11억 3400만 달러(1조 4832억 원), 운영비가 7억 4400만 달러(9731억 원)를 차지했다. 일본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민간 펀드를 통해 건설비를 조달하겠다고 밝혔다. 운영비는 입장권 판매 등 운영수익으로 충당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입장권 판매 수익은 6억 7300만 달러(8800억 원)로 예상했다.
오사카엑스포 비용은 2020년 발표한 마스터플랜에서는 전반적으로 줄었다. 달러화가 아닌 엔화로 제시된 마스터플랜 비용 추계에 따르면 오사카엑스포 총 비용은 2659억 엔(2조 4885억 원) 규모였다. 마스터플랜에서도 중앙정부 보조금, 지자체 보조금, 민간 펀드가 나눠 건설비를 마련한다는 구상은 유지됐다. 다만 건설비는 1850억 엔(1조 7313억 원)으로 잡았다. 운영 수익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티켓 판매 수익은 702억 엔(6569억 원)으로 줄어든 규모로 예상됐다.
밀라노엑스포에서도 3조 원 이상 비용이 들었다. 이탈리아 언론이 2016년 3월 보도한 최종 회계보고서 내용에 따르면 밀라노엑스포의 비용은 22억 5470만 유로(3조 1621억 원)였다. 이 비용에는 엑스포 개최 이후 임시건축물 해체 비용 770만 유로(107억 원)도 포함됐다. 정부 자금 등이 포함된 밀라노엑스포의 수입은 22억 8540만 유로(3조 2052억 원)였다. 엑스포 재정만 본다면 3000만 유로(420억 원) 흑자를 기록했다.
정부는 2030부산월드엑스포 비용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았다. BIE에 제출한 유치제안서에 자금 조달 등의 기본적인 내용을 포함시킨 것으로 알려졌지만 제안서의 구체적 내용은 공개하지 않은 상태다. 국회 엑스포특위 관계자는 “부산시가 2030월드엑스포 유치에 처음 나설 당시 3조 원대 비용을 예상한 바 있다”고 전했다.
정부가 2030월드엑스포 유치를 위해 올해 편성한 예산은 3228억 원이다. 지난해 2516억 원에 비해 28.3% 늘어난 규모다. 정부의 엑스포 유치 예산 대부분은 개발도상국 해외협력사업(ODA)에 집중돼 있다. 올해 엑스포 유치 예산의 80.6%(2602억 원)도 ODA 사업이 차지한다. ODA 예산은 엑스포 유치에 나서기 전부터 계속 확대됐다.
2030부산월드엑스포 유치위원회 지원(254억 원), 주요 외국 인사 방한 초청(64억 원) 등 직접적인 엑스포 유치 예산은 전체의 11%(358억 원) 수준이다. 정부는 가덕신공항 건설 등 인프라 구축 사업비도 엑스포 지원 사업비로 분류했다.
■막대한 비용 넘어서는 경제 효과
직접 비용만 수조 원이 필요한 엑스포의 효과는 이탈리아의 2030월드엑스포 유치 재도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5년에 3조 원 이상을 투입해 엑스포를 개최했던 이탈리아는 2030년 로마에서 다시 엑스포를 개최하겠다고 나섰다. 2005년 아이치엑스포를 개최했던 일본도 20년 만에 오사카엑스포를 연다. 막대한 관광 수입 등 경제적 파급효과가 그만큼 확실하다는 방증이다.
유로뉴스 등 유럽 언론은 밀라노엑스포 개최에 따른 경제효과가 100억 유로(14조 원)에 달했다고 보도했다. 이 가운데 관광업에서 창출된 경제효과만 50억 유로(7조 원)에 달했다. 주세페 스코그나모르리오 2030로마엑스포 유치위원장은 지난 4월 유럽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엑스포 유치의 직접 경제효과는 100억 유로에 달하고 간접 경제효과는 182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주세페 위원장은 엑스포의 비용 효율성에 대해 “투자 대비 경제적 보상은 1 대 5에 달한다”고 분석했다.
2020년 아랍에미리트연합(UAE) 두바이엑스포도 상당한 경제효과를 거뒀다. 외신들은 두바이엑스포에는 70억 달러(9조 원)가량이 들어갔지만 UAE에 2031년까지 334억 달러(43조 6000억 원)의 투자를 창출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글로벌 회계법인 어니스트앤영도 보고서를 통해 두바이엑스포 개최로 UAE 경제에 2013~42년 420억 달러(55조 원)의 총부가가치 증가(GVA) 효과가 생길 것으로 분석했다.
엑스포 경제효과의 핵심인 ‘방문객’도 증가 추세다. 2010년 중국 상하이엑스포의 경우 거대한 중국 인구의 영향으로 방문객 7380만 명이라는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다. 밀라노엑스포 방문객은 2250만 명, 두바이엑스포 방문객은 2410만 명을 기록했다.
오사카엑스포 조직위원회는 엑스포 기간에 2820만 명이 엑스포 현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구체적으로는 오사카부(인구 880만 명)를 포함한 간사이 지방(인구 2160만 명)에서 1560만 명이 엑스포를 찾을 것으로 기대했다. 간사이를 제외한 일본 전역에서는 910만 명이 엑스포를 찾을 것으로 예상했다. 외국에서는 350만 명이 엑스포를 찾을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는 2030부산월드엑스포 관람객을 3400만 명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유치위원회 관계자는 “관람객 3400만 명을 예상하고 있다. 이 중 400만 명 정도는 외국 관람객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엑스포 관람객 규모는 BIE가 특별히 관심을 갖는 지표다. 입장권 판매 수익의 일부를 BIE가 로열티 형식으로 가져가기 때문이다. 엑스포 관람객 유치 경쟁력과 관련해선 한국이 사우디에 앞서 있다는 평가가 많다. 이 때문에 한국은 부산의 관광 인프라 등 관광 산업 경쟁력을 엑스포 유치 강점으로 내세운다.
부산이 2030월드엑스포를 유치한다면 지역 관광 산업은 급성장할 전망이다. BIE는 “엑스포 방문객으로 항공, 호텔 등 개최국의 관광산업이 특수를 누리게 된다”고 밝혔다.
실제로 미국 포브스지에 따르면 상하이엑스포 당시 상하이에 본부를 둔 한 호텔 체인은 엑스포 첫 달에 전년 동월 대비 순이익 118% 증가를 기록했다. 상하이 국제공항의 순이익도 이 기간에112% 증가했다. 가덕신공항의 조기 활성화가 필요한 부산으로선 엑스포 유치가 그만큼 절실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