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로 위축됐던 아파트 매수 심리가 살아나고 거래도 늘면서 서울과 수도권 위주로 아파트값 상승 폭이 커지고 있다. 5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하고 15억 원 이상 거래가 역대 최대일 정도로 서울에는 이미 ‘불장’이 형성됐다. 반면 부산의 아파트 가격은 2년째 하락세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곤두박질치고 있다.
14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7월 둘째 주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이번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24% 오르면서 지난주(0.20%)에 비해 상승 폭이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9월 셋째 주(0.26%) 이후 약 5년 10개월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수도권(0.10%→0.12%) 역시 상승 폭이 확대되면서 전국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주 0.03%에서 이번 주 0.04%로 높아졌다.
서울의 경우 아파트값 상승세가 16주 연속 이어지는 동시에 오름폭도 커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정주 여건이 양호한 선호 단지 위주로 매수 문의가 지속되고 매도 희망 가격이 높아지면서 상승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며 “가격 상승 기대심리가 인근 단지에도 확대되면서 상승 폭이 커졌다”고 전했다.
구별로 보면 성동구를 비롯한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지역과 강남 4구(강남·서초·송파·강동)가 강세를 보였다. 인천(0.05%→0.06%)과 경기 지역(0.05%→0.06%)의 상승 폭도 다소 커졌다.
인천에서는 중구(0.13%)와 남동구(0.12%)의 오름폭이 컸고, 경기도에서는 과천(0.49%), 성남 분당구(0.31%) 등 재건축을 추진 중인 1기 신도시 지역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게다가 서울의 전셋값은 60주 연속 오르고 있다.
또 올해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5채 중 1채는 거래가가 15억 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 제공 업체 경제만랩에 따르면 1~5월 서울 아파트 매매 1만 8830건을 분석한 결과, 15억 원 이상 거래는 전체의 19.9%에 해당하는 3744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국토부가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비중 면에서 1~5월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2006~2018년만 해도 서울에서 15억 원 아파트 거래 비중은 10% 미만이었으며, 2019년 10.5%를 기록한 이래 2020년(6.2%)을 제외하고 줄곧 10%대를 유지했다.
부산의 부동산 시장은 서울의 뜨거운 분위기와 정반대다. 7월 둘째 주 부산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05% 하락했다. 연제구(0.03%)는 연산동 신축 대단지 위주로 상승했으나 남구(-0.13%)는 대연·용호동 중소형 규모 위주로, 사상구(-0.12%)는 주례·모라동 구축 위주로 하락했다.
부산은 2022년 6월 셋째 주에 하락세로 전환된 뒤 2년 넘게 아파트값이 하락 중이다. 물론 그동안 주요 인기 단지와 인기 지역은 일시적으로 상승한 곳도 있지만 전체 평균은 하락을 면치 못하는 실정이다.
그나마 위안은 아파트 전세가격이 보합세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산 아파트 전세가격은 0.0%로 6월부터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향후 부산의 부동산 시장이 수도권과 격차가 더욱 벌어질지, 아니면 뒤늦게 상승세를 따라 잡을지 관심이 모인다. 부동산서베이 이영래 대표는 “금리 인하 시그널이 있어야만 지역 아파트 매매가가 치고 올라갈 수 있는데, 이 같은 외부 변수 없이는 쉽지 않아 보인다”며 “다만 기존 신축 아파트 공급 물량이 소진되면서 전세가격이 상승하는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 전세가 상승은 매매가격을 들어 올리는 원동력”이라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