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저·장낙대교 건설 본궤도, 서부산 발전 주춧돌 되길

입력 : 2024-07-26 05:10: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국가유산청 허가받아 외부 절차 마무리
교통난 완화, 2029년 준공 일정 지켜야

서부산권의 극심한 교통난을 해소할 낙동강 횡단 교량인 대저대교와 장낙대교의 건설 사업이 24일 마침내 국가유산청의 허가를 받으면서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대저대교와 장낙대교의 건설 예정지 인근에 위치한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모습. 부산일보DB 서부산권의 극심한 교통난을 해소할 낙동강 횡단 교량인 대저대교와 장낙대교의 건설 사업이 24일 마침내 국가유산청의 허가를 받으면서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대저대교와 장낙대교의 건설 예정지 인근에 위치한 부산 강서구 에코델타시티 모습. 부산일보DB

서부산권의 극심한 교통난을 해소할 낙동강 횡단 교량인 대저대교와 장낙대교의 건설 사업이 24일 마침내 국가유산청의 허가를 받으면서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그동안 최대 쟁점이었던 낙동강 하구의 철새 서식지에 대해 부산시가 지속적인 환경보호 방안 등을 약속하면서 사업을 추진한 지 약 10년 만에 외부 기관의 허가 절차가 사실상 마무리됐다. 철새 서식지 환경보호와 서부산권 교통난 완화라는 일방적으로 희생시킬 수 없는 두 가치의 상충을 극복하고 차선책을 찾아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부여할 만하다. 우여곡절 끝에 양 대교 건설이 첫 삽을 뜨게 된 만큼 2029년 준공 목표에 차질이 없어야 하겠다.

대저·장낙대교 건설의 필요성은 서부산권 개발과 맞물려 이미 오래전부터 제기됐다. 대저대교는 2006년도에 이미 국토교통부의 제1차 교통혼잡도로 개선 사업에 선정됐고, 장낙대교는 2017년에 예비타당성조사가 완료될 정도로 그 필요성에는 충분한 공감대가 이뤄졌다. 그러나 교량 건설 장소와 철새 서식지인 낙동강 하구가 겹치면서 이곳의 환경보호 대책이 최대 논란거리가 됐다. 필수 요건인 낙동강환경유역청과 국가유산청의 환경영향평가나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시의 부실한 행정까지 더해져 대교 건설은 거의 10년간 진척을 보지 못했다. 그사이 논란만 비등한 채 주민 고통은 갈수록 더해만 갔다.

이번 국가유산청의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는 철새 서식지 보호와 관련한 논란을 일단락 짓고 본격적인 교량 건설 사업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중요한 전기로 꼽힌다. 주지하다시피 서부산권과 도심을 잇는 교량 건설이 계속 지연되면서 서부산권은 지금도 많은 사회·경제적 비용을 치르고 있다. 낙동강을 가로지르는 기존 교량은 벌써 포화 상태가 됐는데 국제물류도시와 에코델타시티 등 대규모 상업 시설과 주거 단지는 계속해서 들어서고 있는 형편이다. 지금도 극심한 교통 혼잡이 갈수록 더 악화할 수밖에 없는 상황인 것이다. 서부산권의 앞날을 고려하면 두 대교가 맡을 역할과 비중이 매우 크고 중할 수밖에 없다.

대저·장낙대교 건설의 걸림돌이 해소된 만큼 이제는 준공 목표에 맞춘 차질 없는 공사 추진이 매우 중요하다. 시는 대저대교의 경우 내달부터 보상 업무와 함께 공사를 시작하고, 장낙대교는 올 연말까지 실시설계 용역을 거쳐 내년 2월께 공사를 발주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동안 교량 건설을 기다려온 시민들을 위해서라도 2029년 12월 준공에 더는 차질이 있어선 안 된다. 또 이 지역의 교통체계도 함께 개선돼야 할 것이다. 아울러 국가유산청의 결정에 여전히 반발하고 있는 지역 환경단체의 제안이나 의견도 유연하게 대할 필요가 있다. 개발과 환경 보호는 교량이 건설된 이후라도 계속 남을 수밖에 없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