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방사성의약품 기반의 ‘꿈의 암 치료제’를 2030년까지 원료부터 신약까지 우리 손으로 완전히 독자 개발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필수 원료인 핵심 동위원소 자급율을 100% 달성하고 방사성의약품 글로벌 신약 후보를 3종 이상 발굴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 세계적으로 급성장하는 방사선-바이오 시장 선점을 위해 이런 내용을 포함해 4대 전략, 9개 추진과제 등을 담은 '방사선-바이오 성과창출 전략'을 7일 발표했다.
최근 노바티스사의 전립선암 치료제(플루빅토) 등 연속된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성공으로 글로벌 제약사들은 앞다퉈 방사성의약품 개발과 인수합병(M&A)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방사선-바이오 시장은 2032년까지 29조 원대로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도 정부 주도로 하나로 등을 활용한 방사성동위원소(RI) 생산기술 개발과 RI신약센터, 수출용 신형연구로 등 인프라 구축에 주력해 왔으며, 민간에서도 암 치료제 임상진행, 방사성의약품 생산설비 구축 등 방사선-바이오 관련 기술개발과 투자를 본격화하고 있다.
이번 전략은 ‘방사선-바이오 산업 생태계 조성으로 미래 글로벌 시장 선점’을 비전으로 제시하고, △핵심원료 동위원소 완전 자급 △방사성의약품 글로벌 신약 후보 도출 △방사선-바이오 수요·공급 전주기 관리체계 구축이라는 목표를 설정하고, 4대 추진전략, 9대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정부는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산하는 기술이나 원자로, 가속기 등 인프라가 투자를 통해 어느 정도 구축된 만큼, 이번 계획을 통해 산업 역량을 끌어올려 미래 방사성의약품 시장을 선점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우선, 정부는 현재 10% 수준에 불과한 의료용 핵심 방사성동위원소 자급률을 2030년까지 100%로 끌어올려 완전 자급화하고, 2035년에는 수출도 타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가 방사성동위원소 생산과 공급, 인증 등을 직접 관리하는 ‘국가 동위원소 프로그램’을 운영해 국가적 관리가 필요한 동위원소를 선정하고 중장기 수요를 파악해 인프라별 공급 계획을 관리한다. 또 방사성의약품 개발을 지원해 글로벌 신약후보를 3종 이상 발굴하고 방사선-바이오 분야 수요·공급 전주기 관리체계도 구축한다.
동위원소 생산능력 강화를 위해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와 양성자가속기 등 기존 인프라는 고도화하고 수출형신형연구로인 기장연구로 등 신규 인프라 구축도 추진하며, 루테늄(Lu)-177, 몰리브덴(Mo)-99 등 차세대 유망 동위원소 생산기술 개발도 지원한다. 스스로 붕괴하는 동위원소 특성상 반감기가 짧아 다른 의약품에 비해 더욱 강조되는 운송체계도 표준화해 신속 공급을 돕는다.
방사성의약품 신약 개발을 위해서는 유도체와 고에너지 동위원소와 유도체를 잇는 합성기술,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하는 차세대 신약 등 3대 중점기술을 집중 지원한다. 또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등에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GMP)’ 시설을 구축해 신약개발 지원을 강화하고, 비임상부터 임상, 출시 후 지원까지 신약개발 전주기 기술을 지원한다. 산업 생태계 구축을 위해 수도권은 신약개발 실증, 동남권은 동위원소산업, 서남권은 기초융합연구 등 권역별로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방사선-바이오 산업 진흥센터’를 운영해 민간 수요 기술개발과 사업화 등을 지원하고, 맞춤형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1차관은 "국내 방사성동위원소의 생산력 향상과 신약 개발 지원 인프라 확보 등을 통해 글로벌 방사성의약품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전 세계적으로 치열해지고 있는 방사성의약품 개발 경쟁에 맞서 우리도 기술경쟁력과 자립도를 높여 나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