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다 빼앗길라”… 거창·남해 주민들, 대학 통합 우려

입력 : 2024-11-28 16:45:27 수정 : 2024-11-28 18:15:23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창원대 위주 진행 도립대만 피해”
글로컬대학 선정·통합 후폭풍
“지역 의견 수렴 절차도 없었다”

2024년 글로컬대학 선정에 따라 국립창원대와 경남도립거창·남해대학의 통합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왼쪽부터 국립창원대,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남해대학 전경. 김현우 기자 2024년 글로컬대학 선정에 따라 국립창원대와 경남도립거창·남해대학의 통합 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왼쪽부터 국립창원대, 경남도립거창대학, 경남도립남해대학 전경. 김현우 기자

2024년 글로컬대학 선정에 따라 국립창원대와 경남도립거창·남해대학의 통합 논의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역사회에서는 통합 여파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는 등 후폭풍이 불고 있다.

28일 경남도립거창대학에 따르면 지난 25일 대학 구성원과 지역민 등을 대상으로 국립창원대학교·거창대학·남해대학 통합 관련 공청회를 열었다. 공청회는 대학통합 계획안 설명, 질의응답 순으로 진행됐다. 남해대학도 21일 같은 형태로 공청회를 개최했다.

두 대학은 이번 공청회에 어느 때보다 많은 공을 들였다. 대학 통합을 앞두고 지역사회에 통합 배경과 방향을 설명하기 위함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최근 통합 이후 악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국립창원대와 두 도립대 통합이 추진되는 건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입학 자원 감소 때문이다. 10년 동안 도립대를 유지하기 위한 경남도 예산 지원 부담은 79억 원에서 214억 원으로 3배 가까이 늘었지만, 입학정원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21일 경남도립남해대학에서 열린 대학 통합 관련 공청회. 대학통합 계획안 설명과 질의응답 등이 이어졌다. 경남도립남해대학 제공 21일 경남도립남해대학에서 열린 대학 통합 관련 공청회. 대학통합 계획안 설명과 질의응답 등이 이어졌다. 경남도립남해대학 제공

미래 전망도 어둡다. 지난해 기준 경남 대학 입학자원은 3만 145명이었지만, 20년 뒤인 2042년에는 1만 3254명으로 56% 감소한다. 경남 지역 3개 대학 중 2곳은 폐교 위기에 직면한 셈이다.

대학 통합은 이런 상황의 돌파구다. 통합 후 거창대학은 항노화휴먼케어학부·드론융합학부·미래방산스마트제조학부 3개 학부, 남해대학은 항공해양방산학부·관광융합학부·에너지안전융합학부 3개 학부로 각각 학사 구조를 개편한다. 경남 전략사업과 지역 특색을 살린 특성화 캠퍼스로 체질을 개선하는 셈이다.

또한, 두 대학은 국립대 전환에 따라 대학 인지도 상승과 국비 지원 등 혜택을 받게 되며, 2~4년제를 병행하는 다층학사제를 운용해 지역 특성화 인재 양성에 집중할 수 있다. 취약점으로 꼽혔던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지역민 평생교육 프로그램 운영도 한층 수월해질 전망이다.

김재구 경남도립거창대학 총장은 “다른 도립대학들도 통합에 나서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우리 지역은 통합을 통해 국립대를 유치하게 됐다. 특히,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됐기 때문에 더 많은 혜택과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다만 지역사회는 다소 혼란스러운 분위기다. 올해 1월부터 통합 이야기가 나왔지만, 글로컬대학 선정이라는 선결과제가 있다 보니 지금까지는 대학 통합이 수면 위로 떠오르지 않았다. 하지만 8월 글로컬대학 선정으로 통합에 속도가 붙었고, 2026년 통합 대학이 개교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뒤늦게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여기에 지금까지 제대로 된 지역민 의견 수렴 절차가 없었다는 점도 혼란을 가중시키는 이유다.

지역사회가 가장 걱정하는 부분은 인구 유출이다. 대학별로 동일 학과가 있다 보니 통폐합이 이뤄질 수밖에 없고 결국 도립대학들이 피해를 볼 것이란 지적이 제기된다.

또한, 창원대 규모가 두 도립대학 대비 8배 정도 크다 보니 행정이 창원대 중심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고, 5년 뒤 글로컬대학 국비 지원이 끊기면 두 캠퍼스 자생력이 뚝 떨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한 대학 관계자는 “통합하더라도 학생 규모는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기로 합의했다. 화학적 통합이 아닌 물리적 통합으로, 각 지역 특성을 살려서 대학을 유지하는 게 핵심이다. 또한 대학 유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해 창원대 최고의사결정기구인 대학 평의원회에 지자체, 도립대 교직원이 최대한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공청회를 통해 의견 수렴을 마친 창원대 등은 대학 내 위원회 의결을 거쳐 다음 달 중으로 교육부에 통폐합 신청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김현우 기자 khw82@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