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디지털화폐 실거래 실험 참가자를 모집한다. 실거래 실험은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참가자들은 자신의 은행 예금을 디지털화폐인 ‘예금 토큰’으로 변환한 뒤 편의점과 카페, 서점, 마트, 온라인 쇼핑 등에서 결제할 수 있다.
한은은 25일부터 디지털 화폐 테스트 ‘프로젝트 한강’ 일반 이용자 사전 모집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실거래 실험에는 7개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BNK부산)이 참여한다. 만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은 수시입출식 예금 계좌가 있는 은행에서 신청하며 된다.
총 참가 인원은 최대 10만 명으로, 국민·신한·하나·우리·농협은행은 각 1만 6000명, 기업·부산은행은 8000명씩 선착순 모집한다. 일반 이용자들은 4월 1일 오전 10시부터 참가 은행 지정 앱을 통해 비대면 방식으로 전자지갑을 개설할 수 있다. 본인의 해당 은행 보유 연계 계좌 예금을 예금 토큰으로 전환하면 된다. 한은은 테스트라는 점을 고려해 일반 이용자의 예금 토큰 보유 한도는 100만 원으로, 테스트 기간 중 총 전환 한도는 500만 원으로 설정했다.
예금 토큰은 지정된 다양한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물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때 QR코드 결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처 중 오프라인 상점은 교보문고, 세븐일레븐, 이디야커피, 농협 하나로마트가, 온라인 쇼핑몰로는 현대홈쇼핑, 모드하우스, 땡겨요가 있다.
예금 토큰을 통해 결제할 경우, 사용처는 판매 대금을 즉시 받을 수 있고, 전자 지갑 발급 은행에 수수료를 지급하지 않아도 된다는 이점이 있다. 한은은 이번 테스트를 통해 국민들의 바우처 이용 편의성을 높이는 한편 실시간 대금 지급·지급 조건 설정 기능을 통한 복잡한 정산 절차와 부정수급 문제 해결 가능성도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참가은행의 공통 시스템 유지·보수시간은 매일 오후 11시 20분부터 다음 날 밤 12시 20분까지 1시간이다. 점검 시간 중 예금토큰 잔액 조회는 할 수 있으나 사용처 결제, 예금과 예금토큰 간 전환 등은 제한된다.
이번 실거래 실험은 오는 6월 30일 종료되며, 실거래 종료 후 이용자 보유 예금 토큰 잔액은 본인의 수시입출식 예금계좌로 일괄 입금된다. 한은은 이번 실거래 실험 종료 후 개선 필요 사항을 반영하고 시스템 정비를 거쳐 프로그래밍 기능에 기반한 개인 간 송금 등 추가 활용사례 발굴, 바우처 프로그램 확대 등을 포함한 후속 실거래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프로그래밍 기능에 기반한 송금이 가능해지면, 자녀에게 용돈을 주면서 책이나 학용품을 구매하는 데 사용하도록 사용처를 제한하는 식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김진호 기자 rplki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