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발생한 대형 산불에 속이 타들어 간다. 피해 지역의 주민들을 생각하면 정말 그 참담함을 무슨 말로 위로를 드려야 할지 가슴이 먹먹하다. 날이 갈수록 기상 이변이 극심해지고 사람의 부주의로 인해 실화의 다발적 발생 등 산불 발생의 빈도와 피해 상황이 점점 커지고 산불이 나면 엄청나게 대형화되니 발생 지역은 거의 초토화가 된다. 산과 인접한 지역이 당연히 피해가 클 수밖에 없으며 주로 농가, 어촌, 임업 등에 종사하는 고령층과 서민들이 피해를 입는다.
전 국토의 70%가 산지인 대한민국의 산림 정책이 그 체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하고 있다. 정권에 따라 바뀌는 국토개발계획이 난개발의 원인이며 산, 강, 바다 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치산치수가 되어야 자연을 최대한 유지하는 기조가 가능하다. 개발을 제한하는 그린벨트 지정, 군사상 목적으로 제한구역 설정은 실제 국토 활용의 효율성 면에서 재검토되어야 한다. 그 많은 임야에 대한 개발 계획과 유사시 대응 매뉴얼, 활용 방안에 대해 국가는 과연 무슨 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하는지 이번 산불 장기화를 보면서 불안한 마음이 든다. 가뭄과 홍수, 불규칙한 기온 변화 등 예견할 수 없이 돌발적인 기후 변화가 일상을 위협하고 있다.
나무를 심으면 이후에도 관리가 수반되어야 숲이 제대로 형성되기에 식목과 육림이 적절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병충해 구제, 천재지변 대처, 간벌 등 체계적인 산림관리를 위해 산림청이 적극 나서야 하며 임업 국가들의 정책과 사업을 벤치마킹하는 것도 건의한다.
나무의 종류는 재목이 되는 것, 우리나라 환경에 적응하는지, 생태계 교란종은 아닌지, 병충해에 강한지 등등을 고려해서 나무를 심어야 한다. 간벌 작업, 재선충 제거용으로 잘려진 나무를 그대로 쌓아 두어 산불 발생 시 불쏘시개 역할을 하여 산불이 대형화되는 원인이 된다.
임업을 수익사업으로 활성화하는 방안의 모색도 절실하다. 유실수나 약초, 특용작물, 버섯류 등의 재배지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임야와 민가가 근접거리에 위치해 언제든지 산불의 위험에 노출되는 구조이다. 산지 지형이 험준하지 않아 언제든지 입산이 가능한 점, 입산 허가제가 없어 국립공원을 제외한 산은 취사, 야영을 통제할 수 없는 제도적 허점도 문제이다.
산지의 임도와 관련해 안이한 행정과 산림정책도 개선돼야 한다. 임도 개설과 개간을 할 때 난개발이 되지 않도록 치밀하게 계획하고, 조금 느리더라도 제대로 된 자연을 후손에게 물려주어야 한다. 후손에게 물려줄 1번은 자연환경의 보존과 출산이어야 한다. 훼손되지 않은 자연을 물려줄 수 있어야 국가가 유지할 가치를 지닌다. 덧붙여 인구 감소가 더 이상 지속되지 않는 정책으로 국가의 존립이 가능하고 살아갈 수 있는 터전이 된다.
제대로 된 임업정책으로 자연 생태계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는 과학적 접근도 필요하다. 수천 년, 수백 년에 걸쳐 만들어진 산림이 순식간에 잿더미가 되는 산불의 진화를 위한 장비나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걸 산불이 날 때마다 확인한다. 고랭지를 이용한 특용작물, 약초, 버섯류, 유실수 등의 계획적인 임업을 정책적으로 접근하려면 선결과제는 임도 건설이다. 소방시설의 현대화, 소방 인력의 전문화도 매우 시급한 과제이며 임도는 소방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중요한 요건이다.
타버린 잿더미, 홍수가 쓸고 간 자리, 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와 상처는 치유하는 데 더할 수 없는 고통과 노력을 감수해야 한다. 언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의 위험 요소들은 중앙 정부와 지자체가 협력 관계 속에서 지속적으로 점검하고 보완해 주기를 바란다. 또 내가 태어난 나라의 자연을 애써 보존하고 발전시켜 후손들에게 제대로 물려주어야 한다는 것을 학교에서도 반드시 가르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