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멸 위기 부산, 인구 문제 해결해 지속 가능 도시 만들자

입력 : 2025-04-22 05:12:00 수정 : 2025-04-22 08:58:5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본사·시·교육청, 21일 부산인구미래포럼
빈집 활용 ·학령인구 감소 대응 방안 제시

부산일보사와 부산광역시, 부산시교육청이 주최한 ‘2025 부산인구 미래포럼’이 21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웨스틴조선 부산 그랜드볼룸에서 열려 세션1 토론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초고령화 사회에 따른 빈집 문제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육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부산이 나아가야 할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일보사와 부산광역시, 부산시교육청이 주최한 ‘2025 부산인구 미래포럼’이 21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웨스틴조선 부산 그랜드볼룸에서 열려 세션1 토론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이번 포럼은 초고령화 사회에 따른 빈집 문제와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교육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부산이 나아가야 할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 인구가 10년 뒤 300만 명 선이 붕괴된다고 한다. 통계청의 시도별 장래인구추계결과(2022~2052년)에 따르면 부산 인구는 2035년에 299만 명으로 300만 명 선이 무너지고, 2052년에는 245만 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초고령화, 학령인구 감소, 청년 유출이라는 삼중 파고에 직면한 부산에는 가혹한 미래다. 이런 가운데 부산시, 부산시교육청, 부산일보사가 21일 공동 개최한 ‘2025 부산인구미래포럼’은 시의적절하다. 이 포럼은 저출생이 촉발한 인구 구조 변화 속에서 지역의 생존 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국내 인구·교육·도시 분야 전문가들과 기업인이 모여 부산을 지속 가능한 도시로 만드는 다양한 해법을 내놓았다.

부산은 저출산·초고령화로 원도심을 중심으로 공동화와 빈집이 확산하는 중이다. 부산의 빈집은 11만 4000호에 달한다. 중구, 동구, 영도구 등 원도심에서 노후공동주택의 빈집 발생이 두드러졌으며 고령자 1인 가구비율도 높다. 전문가들은 단독주택 위주의 빈집 대응책으로 인해 노후공동주택 빈집에 적용 가능한 정책이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공공재정 투입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빈집과 민간에서 적극 활용 가능한 빈집 등 정책 대상 선별 기준을 마련하고, 차별적·전략적 대응을 강조한 부분은 새겨들을 만하다. 빈집의 도시재생사업 활용, 활용 가능한 빈집의 임대주택 제공 등도 유효한 지적이었다.

부산의 학령인구 감소도 심각하다. 올해 29만 4000만 명으로 2010년 46만 7000명에서 37%나 줄었다. 2033년에는 10만 명대로 떨어질 것이라는 우울한 전망까지 나온다. 지금이 교육 체제 전환의 골든타임이라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초중고를 연계한 통합운영학교 확대 제안이 인상적이다. 행정과 시설만 공유하는 게 아니라 핀란드와 영국처럼 교직원 인사와 교육과정까지 단일화된 완전 통합 방식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통폐합보다 지원 중심의 소규모학교 정책, 지역 전략산업과 연계한 고졸 취업 생태계 조성 제안도 있었다. 부산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성장하고 정착하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수도권 일극체제에서 부산은 아이들이 사라지고 빈집은 늘고 기업은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하는 도시가 되어가고 있다. 빈집과 지역소멸 문제를 넘어설 열쇠는 결국 ‘행복한 도시’로 전환해야 한다는 중앙대 마강래 교수의 지적은 의미심장하다. 도시는 콘크리트가 아니라 사람의 욕구를 단계적으로 채워주는 공간이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일자리, 주거, 사람을 만날 수 있는 관계, 존중받는 경험 등이 충족될 때, 시민은 도시를 ‘내가 머물 이유가 있는 곳’으로 인식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이 지역 소멸을 넘어 지속 가능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방향이 어느 정도 잡혔다고 본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역 사회가 면밀한 실행 계획을 세워야 할 때다.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