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신공항~기장 오시리아, 수소 열차 타면 30분대 주파

입력 : 2025-05-07 18:36:0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제2차 부산 도시철도망 구축안

수소트램 신규 노선 부산항선
최우선 사업으로 신속하게 추진
신규 반영 주례~부산역 지선 등
14개 노선 생기면 철도망 배 늘어

박형준 부산시장이 지난 3월 ‘부산항선’ 건설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부산일보DB 박형준 부산시장이 지난 3월 ‘부산항선’ 건설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부산일보DB

향후 10년간 부산의 대중교통 체계를 크게 바꿀 부산시 도시철도 구축계획의 밑그림이 나왔다. 가덕신공항과 부산시 주요 거점을 잇는 부산형 급행철도(BuTX)와 원도심과 북항재개발지구를 연결하는 부산항선을 비롯해 시가 선정한 10개 노선이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부산의 전체 도시철도 규모는 지금의 배 가까이 늘어난다.

■제1차 구축계획과 달라진 점은

부산시가 7일 발표한 ‘제2차 부산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2026~2035년)’은 제1차 구축계획(2016~2025년) 이후 달라진 부산의 도시 여건을 반영하고 울산, 창원, 양산, 김해 등 인접 지역까지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수립됐다.

새롭게 반영된 연산제2센텀선은 지식기반 산업과 첨단 산업 중심의 복합도시로 개발 중인 센텀2지구와 도시철도 1·3호선 연산역, 동해선 원동역을 연결한다. 총길이 8.03km 노선으로, 예상 사업비는 7148억 원이다. 김광회 부산시 미래부시장은 “주변 지역의 교통환경 등을 폭넓게 검토해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의 노선을 선정했다”며 “도시철도와 국가철도의 환승 편의를 제공하고, 센텀2지구의 성공적인 개발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착공이 결정된 하단~녹산선의 빈자리를 이어받은 1순위 사업은 부산형 급행철도(BuTX)다. 가덕신공항에서 기장군 오시리아관광단지까지 30분대에 주파하는 수소 열차로, 다음 달 민자적격성 조사 결과가 나와 사실상 추진이 결정됐다.

앞서 미리 공개된 부산항선은 시가 최우선 사업으로 설정해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밝힌 수소 트램 신규 노선이다. 기존 계획에서 경제성이 부족해 사업이 지지부진했던 영도선, 씨베이파크선 중 북항재개발지구를 지나는 씨베이선 구간, 우암감만선과 오륙도선에서 도로 폭이 좁거나 운영 중인 노선과 중복되는 구간을 조정해 사업성을 확보했다.

정관선과 오시리아선은 각각 예비타당성 조사와 민간적격성 조사를 진행 중인 노선이다. 정관선은 1차 계획에서 3순위였던 노포정관선에서 광역철도가 진행 중인 구간을 제외하고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정관신도시, 동해선 좌천역을 잇는 구간으로 조정돼 3순위를 지켰다. 오시리아선은 장산역과 오시리아 관광단지를 연결한다.

자갈치역과 장림역을 잇는 송도선, 명지오션시티와 강서 에코델타시티, 대저역을 연결하는 강서선, 도시철도 4호선을 연장해 안평역과 일광신도시를 연결하는 기장선은 1차에 이어 이번에도 대상 노선에 포함됐다. 강서선은 에코델타시티 사업자인 한국수자원공사와 사업 추진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

이밖에 도시철도 2호선 주례역과 학장교차로, 구덕공설운동장과 1호선 부산역을 잇는 주례~부산역 연결지선도 신규 노선으로 후보 노선에 새롭게 반영됐다.

■대중교통 중심 교통체계 완성 목표

시는 이번 계획안에서 도시철도가 글로벌 허브도시의 중심이자 지역 균형발전을 선도하면서 도시철도 수송분담률을 10% 끌어올리고, 경쟁력 있는 그린도시를 조성하도록 한다는 4대 목표를 설정했다고 설명했다.

시는 이번 계획안이 1980년대부터 추진된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를 완성하는 사실상 마지막 그림이 될 것이라고 본다. 14개 노선 총 179.4km(1·2호선 포함)이 모두 건설될 경우 현재 총길이 115.2km 규모인 부산도시철도망이 배 가까이 확충되고, 44.6%에 머물고 있는 대중교통 수송 분담률도 크게 끌어올릴 수 있다는 판단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이번 제2차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은 앞으로 10년간 부산의 대중교통 체계를 혁신적으로 개선할 청사진”이라며 “특히 부산항선은 최우선 사업으로 설정해 신속하게 추진하고 나머지 사업도 주변 개발 여건과 경제적 타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예비타당성 조사 등 절차를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