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창원시가 물순환 취약지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지역별 맞춤형 대책 마련에 나선다.
창원시정연구원은 최근 시행된 ‘물순환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창원형 대응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11일 밝혔다.
물순환촉진법은 기후변화의 심화와 불투수면(물이 잘 침투하지 않는 공간·면) 증가로 도시 침수·하천 건천화·가뭄·수질 악화 등 복합적인 물환경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10월께 제정됐다. 물순환 기능이 저하된 지역을 ‘촉진구역’으로 지정하고 통합적인 물관리 정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도록 한다.
창원은 도심과 산업단지, 농촌지역이 혼재된 유역구조를 갖고 있어 지역별로 물환경 문제 양상이 차이를 보이는 게 특징이다.
성산구는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 비율이 높아 도시 침수·유출수 관리 문제가 심각하며, 의창구는 신도시 개발과 지형적 특성으로 인한 내수 침수 위험이 큰 곳이다.
마산회원구는 하천 수질과 수생생태계 건강성이 낮아 물환경 관리 측면에서의 취약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파악된다.
때문에 시정연구원은 획일적인 정책 대응보다는 유역 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물순환 촉진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본다. 유역별로 물순환 기능 저하 원인을 정밀 진단한 뒤 단계적으로 물순환 촉진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시정연구원은 먼저 물순환 왜곡도와 이수·치수 안전도, 수질과 생태 취약성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취약성 평가를 통해 지역 특성에 맞춘 유역별 맞춤형 관리 방안을 구체화할 것을 제안했다.
이어 물순환 기능이 저하된 우선 관리 유역부터 점진적으로 촉진 구역을 지정하는 단계별 로드맵을 만들고 기존의 법정계획과 연계해 실행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창원시 물순환관리 및 촉진 조례(안)’ 제정도 건의했다. 물순환 촉진 계획의 수립·이행·성과평가, 주민참여, 재정지원 등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함으로써 행정적 추진체계를 확립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시정연구원은 물순환 기능이 회복되면 도시침수 사례를 줄이고 수질은 개선되는 데다 생태계 복원 등 다양한 환경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했다. 나아가 기후위기 대응과 녹색도시 전환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내다봤다.
시정연구원 관계자는 “창원시는 도심·산단·농촌이 혼재한 복합 도시구조를 갖고 있어 물순환 왜곡도와 수질·재해·이용 측면에서 복합적인 취약성을 보인다”며 “물순환 법제의 실질적 적용을 위한 전략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강대한 기자 kd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