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의눈] 해수부 부산 이전, 꼭 실현돼야

입력 : 2025-06-24 17:31:09 수정 : 2025-06-24 17:33:1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새 정부는 늘 지역균형 발전을 외쳤다. 하지만 오늘날 수도권과 지방의 격차는 회복 불능상태에 이르렀다. 인구 절반이 수도권에 거주하다보니, 표심으로 먹고 사는 정치권은 선거 때마다 그럴싸한 공약을 내세우지만 선거가 끝나면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듯 공허한 메아리가 되어 버리고 만다.

이재명 대통령은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부산 유권자들은 40% 득표로 화답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첫 국무회의에서 해수부의 빠른 이전을 지시했고 해수부는 이전 추진단을 구성해 추진하겠다고 한다. 내년 6월에 지방선거가 있기에 부산에서의 승리를 위해서는 서두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물론 해수부 직원들이 우려하는 주거나 자녀 교육문제 등은 해수부와 부산시가 적극 검토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해수부는 본부와 산하기관 등을 합쳐 4200여 명 규모다. 더불어 외청으로 1만 3000명 규모의 해양경찰청도 있다.

해수부 이전과 함께 업무와 권한을 더 확대할 필요성도 있다. 해수부가 중심이 돼 북극항로를 개척해야 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담당하는 조선산업 관련 업무를 해수부로 이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조선 관련 산업이야말로 사실상 부산·울산·경남에 집중돼 있지 아니한가. 해수부가 이 업무까지 맡게 되면 업계 지원과 소통이 효율적으로 이뤄져 시너지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부산시민들은 민주당이 그동안 산업은행 이전에 적극적이지 않았기에 섭섭함과 불만이 많다. 이에 해양수산부 이전 약속은 반드시 실현돼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부산시와 여야 국회의원도 모두 합심해 총력전으로 맞서 시민의 여망에 부응하기 바란다. 우도형·부산 동래구 명륜2동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