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의회와 부산시, 언론계, 시민단체가 한자리에 모여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부산의 미래 발전 전략’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부산시의회 기획재경위원회는 3일 오후 시의회에서 '부산 미래 발전 전략 라운드 테이블'을 열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장하용 부산연구원 미래전략기획실장이 글로벌허브 도시 특별법 제정과 트라이포트 구축, 북극항로 활성화, 산업은행 이전과 해사전문법원 설립, 디지털·친환경 산업 육성, 경부선 철도 지하화 등 '부산 미래 발전 10대 전략과제'를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이 자리에서 구체적인 부산 미래 발전 전략을 논의했다. 성창용 기획재경위원장은 "산업은행 본사 부산 이전과 글로벌허브 도시 특별법 제정은 단순한 기관 유치가 아니라, 시민 중심의 실질적인 발전 대안"이라며 "북극항로 거점화와 해양수산부 이전 같은 국가 차원의 전략과 더불어, 지역이 주도하는 전략도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철 의원도 “부산이 국가 균형발전의 축이 되기 위해 산업은행 이전과 북극항로 전략이 함께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중앙과 지역 간 협력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반선호 의원은 "산업·해양·물류 중심도시로서 부산의 역할 강화를 위해선 국회와 중앙정부, 지역사회가 조율하는 정교한 입법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부산 발전 전략을 시민 중심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부산일보 정달식 논설위원은 “중앙정부 의존이 크고 시민 삶과 연결되는 전략이 부족하다”며 전략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민단체는 중앙정부 의존이 아닌 지역이 주체가 돼 균형발전을 이룰 수 있는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부산시민연대 박재율 상임대표는 "해사전문법원 설치, 북극항로 전략, 낙동강 생태관광 조성, 광역지방정부 구축까지 지역 주도의 중장기 전략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부산시 이경덕 기획관은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부산을 새로운 발전 거점으로 육성해야 한다"며 "인프라와 교육, 시민의 행복이 연결된 지속 가능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재위는 이번 라운드 테이블에서 논의된 전략과 제안을 향후 시의회 내 정책 제안이나 관련 논의 과정에서 적극 참고해 시민 중심의 미래 전략이 실현될 수 있도록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