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울산·경남 시도지사들이 새 정부에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촉구하고 부산·경남 행정통합과 부울경초광역경제동맹을 위해 더욱 긴밀히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다. 울산시도 부산·경남행정통합이 성사되면 행정통합에 합류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부산시는 지난 2일 박형준 부산시장과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경남 김해에서 ‘부울경 시도지사 지역 현안 간담회’를 가졌다고 3일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새 정부 출범에 따라 공동 협력 사업을 국정과제화하고 부산·경남 행정통합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시도지사들은 부울경이 새로운 성장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더욱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이들은 “수도권 일극 체제의 심화는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성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며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방이 자생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이를 위해 “새 정부가 지방분권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지역균형발전 정책을 보다 적극적이고 실질적으로 추진해 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공론화 절차를 밟고 있는 부산·경남 행정통합은 예정된 일정에 따라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또, 수도권 중심의 일극 체제에 대응하는 광역 경제권을 위해 부울경초광역경제동맹이 시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공동 사업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이를 발판으로 통합의 실효성을 확보하기로 했다.
박형준 시장과 박완수 도지사는 부산·경남 행정통합에 대한 공동 입장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이들은 민선 8기 취임 3주년을 전후해 행정통합을 강력히 추진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박 시장은 지난 1일 기자회견에서 “부산·경남 행정통합을 강력히 추진할 필요가 있고, 지역 혁신 균형발전을 위해 경남도지사와 긴밀히 협의해 더 속도를 내고 시민 공론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모으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도지사도 같은 날 “2~3년 안에 부산·경남 행정통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면서 “수도권에 대응하는 수단을 선택해야 한다면 특별지방자치단체는 의미가 없고, 행정통합을 통한 단일화한 지방자치단체가 더 낫다”고 주장했다.
특히 울산시는 부산·경남 행정통합이 성사될 경우, 부울경 행정통합에 대해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았다. 이렇게 될 경우 단계적인 행정통합을 통해 동남권의 행정통합이 실현될 수도 있다.
부산시와 경남도가 지난해 11월 출범한 부산·경남 행정통합 공론화위원회는 지난 1일을 시작으로 양 시도에서 총 8회 시민 토론회를 개최한 뒤 행정통합 기본구상안을 마련하고 하반기 시도민 여론조사를 실시해 시도지사에게 최종 의견서를 전달하게 된다.
시도지사들은 또, 부울경의 주요 현안을 해결하고 공동 협력 사업을 국정 과제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지역 정치권과 협력하는 방안이 효과적이라고 보고, 지역 국회의원들과 한자리에 모여 논의할 수 있는 자리를 조속히 마련하기로 했다.
한편 이재명 대통령은 3일 취임 한 달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한 첫 기자회견에서 지역균형발전을 재차 강조하고, 대선 공약으로 제시했던 ‘5극 3특(5대 초광역권·3대 특별자치도 육성)’을 지역균형발전의 핵심 정책으로 꼽았다.
최혜규 기자 iwil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