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시가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 공약으로 제시한 ‘경부고속도로 상북IC 개설 사업’에 대한 타당성 조사에 나선다.
양산시는 오는 9월로 예정된 추가경정예산에 상북IC 개설 가능성 유무를 파악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 용역비를 편성한다고 27일 밝혔다.
용역에는 상북IC 개설 가능성 유무를 먼저 조사한다.
IC 개설이 가능하다고 나오면 위치와 개설 형태도 파악할 방침이다.
양산시는 경부고속도로 주관문으로 TG를 포함한 양산IC가 이미 개설돼 50여 년째 운영 중이다. 그래서 용역 결과 ‘상북IC 개설이 가능하다’고 나오면 하이패스 IC 개설을 검토 중이다.
민주당은 용역에서 상북IC 신설 타당성은 물론 양산IC의 상북 이전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민주당 김지원 시의원은 “양산IC 주변 도로가 출퇴근 시간대 극심한 교통체증을 일으키는 만큼 교통 분산은 물론 지지부진한 상북 지역 도시개발사업(미니신도시) 촉진을 위해서라도 상북IC 신설 또는 양산IC 이전·개설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양산IC와 통도사하이패스 IC 간, 양산IC와 통도사IC 간 거리가 각각 12.9km와 14.2km에 불과하다. 양산IC를 폐쇄하지 않고 상북IC 신설은 쉽지 않은 상황이다.
그렇다고 경부고속도로 대구~부산 개통과 동시에 개설(1969년)한 양산IC를 폐쇄하면 주민 반발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용역 결과 ‘상북IC 개설이 가능하다’고 나오면 양산IC를 상북으로 이전·개설하거나 하이패스 IC 개설이 현실적이다.
상북 지역에 TG를 포함한 IC 또는 하이패스 IC가 개설되면 출퇴근 시간대 양산IC 주변의 교통체증을 완화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양산IC 주변 도로(국도 35호선)의 교통체증이 완화되면, 국도 35호 선상에 건설된 고가도로의 철거도 필요 없게 된다.
고가도로는 한국도로공사가 양산IC를 신기동에서 이곳으로 이전·개설하면서 국도 35호선 왕복 8차로 중 중간 4차로 구간에 길이 600m 규모로 건설해 2005년 개통했다.
하지만 고가도로가 고속도로에서 나온 차량과 고가도로 이용 차량이 뒤엉기면서 교통체증은 물론 접촉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양산시도 2017년 교통 운영 관리 체계 개선을 위해 고가도로를 포함한 이 일대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가도로 철거 시 교통량 서비스 수준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왔지만, 예산 미확보 등으로 철거가 미뤄지고 있다.
양산시 관계자는 “나동연 양산시장의 지시로 대통령 공약에 대한 타당성 유무를 파악하기 위해 9월 추경에 관련 용역비 2000만 원을 확보한 뒤 용역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산에는 TG를 포함한 3곳의 IC와 1곳의 하이패스 IC가 각각 운영 중이다. 1곳의 하이패스 IC는 개설 중이며, 2곳의 하이패스 IC 개설 사업은 추진 중이다.
김태권 기자 ktg660@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