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지로 '통영·포항' 선정…부산은 ‘고배’

입력 : 2025-07-29 19:49:54 수정 : 2025-07-29 20:32:19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해수부, 첫 공모결과 9곳 중 2곳 선정
하반기 공모로 대상지 1곳 추가 예정
국비·지방비·민자 등 총 1조 원 투자
지역 매력에 해양레저관광 기능 집적
일자리 창출 등 연안지역 발전 도모

해양수산부가 ‘한국형 칸쿤’으로 불리는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 첫 대상지로 경남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은 칸쿤 전겅로 경남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를 선정했다. 부산일보DB 해양수산부가 ‘한국형 칸쿤’으로 불리는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 첫 대상지로 경남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사진은 칸쿤 전겅로 경남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를 선정했다. 부산일보DB

해양수산부가 주관하는 ‘한국형 칸쿤’으로 불리는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 첫 대상지로 경남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가 선정됐다. 부산은 이번 공모에서 고배를 마셨다.

해수부는 29일 지역 해양관광 활성화를 선도할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 첫 번째 대상 지역으로 경남 통영시와 경북 포항시 2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해수부는 9개 광역 지자체별 사업서에 대한 서면평가와 현장실사 등을 거쳐 첫 번째 대상지역 2곳을 선정했다.

앞서 지난 4월 말 마감된 공모에는 바다를 끼고 있는 11개 광역 지자체 가운데 울산과 제주를 제외한 부산, 경남(통영), 인천, 경기(시흥), 경북(포항), 전남(여수), 전북(고창), 충남(보령), 강원(양양) 등 9곳이 최종 신청서를 제출해 4.5대 1의 경쟁률을 예고했다. 부산시는 복합해양레저 관광도시 조성 사업 공모에 사하구 다대포 일대 300만㎡에 오는 2035년까지 호텔 2곳과 인공서핑 시설 등을 갖춘 해양레저 명소를 조성하는 계획을 제출한 바 있다.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예시도. 해수부 제공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예시도. 해수부 제공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은 개소당 국비와 지방비 각 1000억 원, 민자(민간투자) 8000억 원) 등 총사업비 1조 원이 투입된다. 지역의 고유 매력을 활용하고, 민간투자와 연계해 놀거리(레저), 볼거리(관광), 쉴거리(휴양) 등 해양레저관광 기능을 집적해 대규모 해양관광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지역의 고유매력과 민간투자를 통해 관광객이 방문·증가하고, 이를 모멘텀으로 지역의 투자와 발전이 지속되고 도시 전체로 확대돼 가는 ‘복합 해양레저관광도시’ 사업 모델이다.

해수부는 지역 특색과 매력이 반영된 해양관광도시 조성을 위해 이번 공모를 통해 선정된 지자체와 긴밀히 협의해 해양레저관광 인프라 확충, 민간 투자계획 등에 대한 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해수부는 올해 추가경정 예산(추경)에 관련 사업비가 반영된 만큼 올 하반기에 공모를 거쳐 추가로 1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다만, 예산당국이 대규모 국비 반영 사업에 난색을 보이고 있어 내년에도 사업이 지속될 지는 불투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수부 제공 해수부 제공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이 단순한 해양관광 인프라 투자를 넘어 연안지역 경제 활성화의 마중물이 되길 기대한다”며 “정부는 지역과 민간이 함께 참여하는 열린 협력 체계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해양관광도시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복합해양레저관광도시 조성사업은 광역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 공모를 통해 대상지를 선정한다. 사업은 구역 전체를 신규 조성(분양)하는 방식이 아니라 구역을 지정하되 기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필요 신규시설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특히 신규시설 도입은 민간투자 유치를 중심으로 하고, 민간투자만으로는 부족한 지역매력 특화 등을 위한 정부·지자체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민간투자와 정부·지자체 지원을 지정된 구역(기존 자원 보유)에 집중함으로써 해양레저관광 기능이 집적화된 단지로 발전하게 된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부산온나배너
부일영화상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