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우편을 통해 마약성 의약품을 여러 차례 걸쳐 밀수한 20대 2명과 10대 1명이 적발됐다. 이들은 SNS 채팅방 등을 통해 밀수 수법과 환각효과를 극대화하는 방법 등을 공유하기도 했다.
관세청 부산본부세관은 일본발 국제우편 속에 마약성 의약품을 숨겨 밀수한 A 씨(23), B (22)씨 C (17)양을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불구속 송치했다고 2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해 3월부터 지난 3월까지 국제우편 속에 코데인과 덱스트로메토르판이 함유된 감기약 등 마약성 의약품을 밀수입한 혐의를 받고 있다.
대학생 A (23)씨는 해외직구로 미국, 일본 등에서 코데인과 덱스트로메토르판이 함유된 감기약 등 마약성 의약품을 밀수입했다. A 씨는 환각 효과를 노리고 마약성 의약품을 과다복용하는 일명 ‘오디(OD, OverDose)’를 목적으로 해외직구를 통해 미국, 일본 등에서 코데인 및 덱스트로메토르판이 함유된 감기약 등 마약성 의약품 총 2188정을 구입하여 17회에 걸쳐 분산 밀반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A 씨는 '오디' 관련 SNS 비공개 단체 채팅방에서 또래 집단에 마약성 의약품 밀수 수법, 환각효과를 극대화하는 복용 방법 등 정보를 공유했다. 복용 후 남은 의약품은 판매하기도 했다.
세관 관계자는 “A 씨는 환각 효과를 얻기 위해 1회 복용량이 1정인 마약성 의약품을 한 번에 최대 100정까지 복용했다”며 “세관 조사를 받고 귀가한 당일에도 충동을 억제하지 못하고 마약성 의약품을 다시 주문할 정도로 심각한 중독 증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세관은 이 과정에서 해당 단체 채팅방을 통해, 마약성 의약품을 밀수입하고 복용한 대학생 B (22)씨와 고등학생 C (17) 양도 추가로 적발했다. B 씨는 마약성 의약품 총 1688정을 11회에 걸쳐 몰래 수입했는데, A 씨의 세관 검거 사실을 알게 된 뒤에도 밀반입을 계속했다. B 씨는 세관에 적발되어 1차 조사를 받고 난 후에도, 다른 비공개 채팅방으로 옮겨 활동을 이어가는 등 중독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였다.
C 양은 ‘오디’ 관련 SNS 단체 채팅방에서 활동하며 여러 개의 마약성 의약품을 밀반입하다가 적발됐다. 세관 조사에 따르면 C 양은 중학생 때 처음 ‘오디’ 관련 커뮤니티를 접한 것으로 확인됐다.
세관 관계자는 “B 씨는 세관 조사를 받고 난 후에도 다른 비공개 채팅방으로 옮겨 활동을 이어가는 등 중독에서 쉽사리 벗어나지 못했다”며 “C양의 경우 처음 ‘오디’ 관련 커뮤니티를 접한 시기가 중학생 때인 것으로 확인돼 충격을 더했다”고 말했다.
세관 측은 “해외직구와 SNS 활성화로 마약류에 대한 정보가 10∼20대 사이에서 쉽게 공유되고 마약류에 처음 노출되는 연령도 점차 낮아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채팅방에 참여한 다른 이들에 대해서도 추가 수사를 이어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