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현역 기초단체장들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3년 전 지방선거에서 부산 시민들은 국민의힘 후보들에 일제히 손을 들어줬지만, 지금으로선 보수 지지층 내에서도 흔들리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이는 일부 단체장들의 사법 리스크에 더해 잇단 구설에까지 오른 영향으로 풀이되면서 내년 지방선거를 8개월여 앞둔 지역 정치권에서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부신일보〉가 창간 79주년을 맞아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 의뢰해 지난 7~8일 부산 지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가운데 46.3%가 ‘현직 구청장·군수는 교체되는 것이 좋다’고 답했다. 이는 현역이 재선출 돼야 한다는 응답 35.3%보다 11%포인트(P) 앞서는 수치며 격차는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P))를 벗어난 수준이다.
부산 정가는 이러한 분위기가 전 권역에서 고르게 감지된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국민의힘 기초단체장에 힘을 실어줬던 국민의힘 지지자들 중 30.3%에 달하는 이들이 ‘교체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 또한 19.3%나 됐다.
이는 현직 구청장들 일부가 공직선거법 위반 등의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는 점, 그리고 부적절한 행보로 지적을 받았다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게 중론이다.
재판이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김진홍 동구청장은 지난해 1심에 이어 올 7월 2심에서 당선무효형에 해당하는 벌금형(130만 원)을 받은 상태다. 그는 2022년 3~6월 개인 계좌에서 16회에 걸쳐 약 3338만 원을 송금해 선거 비용과 정치자금으로 사용한 혐의 등으로 기소됐는데 재판 중에 출판기념회를 열어 눈살을 찌푸리게 하기도 했다.
22대 총선을 앞두고 지역 행사에서 지역구 국회의원 치적을 홍보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김형찬 강서구청장은 지난 6월 벌금 80만 원을 선고받았으나 검찰이 항소, 2심에서도 벌금 200만 원을 구형한 상태다. 당초 지난 10일 2심 선고가 예정돼 있었으나 내달 1일로 연기된 상태다.
2021년 12월 자신이 운영하는 건설사 직원에게 주민 휴대전화 번호가 담긴 USB를 전달해 문자 발송을 지시한 혐의를 받는 오태원 북구청장은 2023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1심에서 벌금 150만 원을 선고 받은 뒤 2심에서 위헌법률심판을 제청해 헌법재판소 판단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다.
가장 최근인 지난 11일 1심 결과, 징역 9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 받은 이갑준 사하구청장 또한 국민의힘 예비 후보 지지를 요청한 혐의로 당선무효 처지에 놓인 상태다. 다만 그는 선고 직후 취재진을 만나 불복 의사를 드러낸 만큼 항소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본 조사는 <부산일보>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에서 지난 7~8일 부산 지역 만 18세 이상 1002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사용된 피조사자 선정 방법은 통신사에서 제공받은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해 무선 자동응답(ARS) 조사로 진행했다. 가중값 산출과 적용 방법은 올해 8월 말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 통계를 기준으로 셀가중을 부여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응답률은 5.4%로 기타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