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조국혁신당 성 비위 사건과 관련해 ‘뒤늦은 가해자 커밍아웃이 놀랍다’며 정면 비판했다. 성 비위 사태로 내홍 여진이 이어지는 가운데 조국혁신당은 15일 ‘조국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로 돌입했다.
추 의원은 이날 SNS를 통해 “조국혁신당에서 5개월 전 일어난 성 비위 사건 가해자가 뒤늦게 등장, 사실관계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전날 성 비위 사건으로 제명된 김보협 전 혁신당 수석대변인의 “고소인이 주장하는 바와 같은 성추행·성희롱은 없었다”라는 반박을 지적한 것이다.
이어 추 의원은 조국혁신당의 성 비위 사태를 둘러싼 대응 방식도 비판했다. 그는 “조국혁신당은 외부 전문가에 조사를 위탁하면서 즉시 취해야 할 조치들을 미루고 회피하는 사이에 진실 게임으로 전환해 버렸다”고 지적했다.
추 의원은 “피해자가 성 비위 고발로 입는 상처 중에 가장 심각한 것은 ‘단절’”이라면서 “가해자로 지목된 자의 주장처럼 아무 일 없었는데 소속한 집단으로부터, 사회적 편견으로부터, 자신이 쌓아 올린 사회적 신용으로부터 해당 피해 여성이 ‘단절’의 피해를 감수하고 무엇 때문에 고발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이어 추 의원은 “나는 고발자를 응원하고 그분을 대리한 강미숙 고문을 믿는다”며 응원했다.
조국혁신당 성 비위 사건 가해자 중 한 명으로 지목된 김 전 대변인은 전날 사건 의혹이 제기된 후 처음 밝힌 공식 입장에서 “피해자 중심주의는 피해자 주장을 무조건 사실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닐 것”이라며 “명백하게 사실과 다른 악의적 내용에 대해선 법적인 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고소인은 성추행 의혹을 제기했고 당은 외부 기관 조사 결과를 100% 수용해 저를 제명 처분했다”며 “저는 그 외부 기관 보고서를 이른바 피해자 진술만이 구체적이고 일관성 있다고 받아들인,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믿고 싶은 것만 믿은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이날 조 위원장은 당내 성 비위 사건 수습을 위해 구성된 비대위 첫 회의에서 고개를 숙였다. 조 위원장은 “당이 법률적 절차와 사과에 치중해 마음을 얻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아들인다”며 “저부터 통렬하게 반성한다”고 밝혔다.
이어 조 위원장은 “정치는 책임이다. 제가 책임지고 피해자의 상처 치유, 온전한 보상, 재발 방지, 제도 개선을 하겠다”며 “혁신당은 소통·치유·통합 3가지 원칙 위에서 공동체적 해결을 위한 다양한 조치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조 위원장은 피해 수습을 위한 실무 기구 출범·인권 보호를 위한 상시 기구 설치 및 전국 시도당 당원과 대화 등 3가지 대책을 내놨다. 조 위원장은 “향후 당내에서 피해자의 실명 거론을 금지한다. 피해자가 원하는 일”이라며 “혁신당은 성차별적 의식과 문화를 바꾸는 일에 나서겠다. 우리 사회 성평등과 인권 향상을 위한 개혁에 책임지고 앞장서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독배라며 저를 말리는 분이 많았다. 다치지 않도록 뒤에 있으라는 말도 많이 들었다”며 “그러나 그것은 계산이다. 저는 그렇게 정치하지 않겠다”고 당 재건 의지를 밝혔다.
한편 조국혁신당 지도부는 지난 7일 성 비위 및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처리 미흡 논란으로 총사퇴한 바 있다.
이후 조국혁신당 당무위원회는 이달 11일 조국 당시 혁신정책연구원장을 비상대책위원장으로 선출하고, 비대위 구성을 일임했다. 조국혁신당은 전날 서왕진·엄규숙 부위원장과 김호범·우희종·윤솔지·정한숙 위원 등 비대위 인선을 마무리했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