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HMM 등 해운 기업 부산 이전, 연내 구체적 계획 나와야

입력 : 2025-10-23 05:12: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해운기업 이전 추진위' 첫 회의 개최
신속한 실행 해양산업 생태계 구축을

HMM의 메탄올 연료 컨테이너 1호선 HMM 그린호 . HMM 제공 HMM의 메탄올 연료 컨테이너 1호선 HMM 그린호 . HMM 제공

HMM 본사를 비롯한 해운 대기업의 부산 이전 현실화를 위해 민관이 머리를 맞대는 장이 마련됐다. 부산시, 상공계, 학계, 연구·출연기관, 항만 관련 협회 등으로 구성한 ‘해운기업 이전 추진위’가 지난 21일 첫 회의를 가진 것이다. 박형준 부산시장과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이 추진위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 15일 국감에서 연내 해운 대기업 이전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선제적으로 이전 대책과 지원 방향을 마련하는 차원에서 추진위를 구성했다고 한다. 정부의 로드맵 공개 전에 이전 기업을 대상으로 지역에서 지원 대책 논의에 나선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회의에서는 해운 대기업의 이전을 이끌어내기 위한 현실적인 아이디어가 많이 나왔다. 대표적인 것이 세제·재정 지원, 규제 특례, 정주 여건 개선 등을 제공하는 기회발전특구 지정을 통해 대기업에게 현실적인 혜택을 줘야 한다는 것이었다. 선사들 운영비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선박 연료 비용 지원과 대통령 공약인 해운 대기업 이전에 대한 국비 투입 확대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시는 도출된 의견을 토대로 구체적인 이전 로드맵과 이전 대상 기업 직원에 대한 지원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시는 해양수산부와의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해운기업 이전 관련 정책·입지·정주 여건 지원 등 핵심 현안을 면밀하게 조율하길 바란다.

그동안 지역에서는 상공계를 중심으로 HMM의 신속한 이전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컸다. 부산상의가 지난달 개최한 전재수 장관 초청 간담회에서도 “HMM은 정부 지분이 70% 이상인, 국가대표 국적선사인 만큼 정부의 빠른 의사결정을 통해 이전 절차를 추진하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부산상의는 7월 HMM 유치를 위한 제도적 지원 기반이 될 ‘글로벌 해운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러한 지역의 요구와 노력은 타당하다. 입지적 강점을 지닌 부산에 정부의 지원이 주어진다면, HMM 등 해운 기업들이 이전을 진지하게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해수부 부산 이전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양산업 생태계 구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HMM 본사 부산 이전은 해양산업 거점 완성과 국내 대형 해운선사의 부산 집적화를 위한 전환점이 된다. 부산이 명실상부한 해운 물류 중심지로 거듭나고 해양산업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 이재명 대통령도 해양수도를 견인하는 구체적 사례로 HMM 본사 부산 이전을 제시한 바 있다. 정부는 HMM을 비롯한 해운 기업의 부산 이전에 관한 구체적인 계획을 연내 신속하게 내놓아야 한다. 부산시 등 지역에서도 해운 기업의 수용 태세를 치밀하게 점검해, 해운 기업 집적과 산업적 파급 효과 극대화를 이끌어내야 할 것이다.

금정산챌린지
wof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

FUN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