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 지난해 운영 적자 4000억… 부채도 2조 육박

입력 : 2025-10-21 16:40:59 수정 : 2025-10-21 18:20:29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매년 4000억대 적자…재정 구조 흔들
무임승차 손실 급증…1737억 원 달해
경영평가 최하위…“고강도 개선 필요”

부산도시철도 1호선 역사에 전동차량이 진입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도시철도 1호선 역사에 전동차량이 진입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부산교통공사가 지난해 4000억 원이 넘는 대규모 운영 적자를 기록하며 재정 악화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에 따른 무임승차 증가와 인건비·운영비 부담이 겹치면서 적자 폭은 해마다 확대되고 있고, 매년 2000억~3000억 원 규모의 부산시 재정 투입에도 부채비율은 오히려 상승하고 있다. 특히 최근 행정안전부 경영평가에서 전국 도시철도 기관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하는 등 구조적 한계가 드러나면서 실효성 있는 개선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실이 부산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부산교통공사는 지난해 기준 4192억 원의 운영 적자를 기록했다. 2021년 3452억 원, 2022년 3441억 원, 2023년 3751억 원 수준이던 적자 규모는 지난해 처음으로 4000억 원을 넘어섰다.

고령화 영향으로 무임승차 인원도 매년 늘고 있다. 2021년 8000만 명 수준에서 2022년 9056만 명, 2023년 1억 19만 명, 2024년 1억 757만 명으로 증가했고, 이 중 대부분은 노인 인구가 차지했다. 노인 탑승자는 2021년 6771만 명에서 2024년 9437만 명까지 늘었다. 이에 따라 무임승차로 인한 손실액도 2021년 1090억 원 수준에서 지난해 1737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수익 감소와 인건비·운영비 부담이 겹치면서 부채비율도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산교통공사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기준 78.7%에 달했고, 올해는 87.3%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노후 전동차 교체와 시설 개선 사업 등에 따른 재정 부담으로 부채 규모는 올해 1조 8874억 원에서 2029년 2조 69억 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예측됐다. 부산시의 재정 지원금 역시 2021년 2978억 원, 2022년 2516억 원, 2023년 2081억 원에서 지난해 3811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부산교통공사는 적자 해소 방안으로 △도시철도 무임수송 손실(PSO) 국비 지원 추진 △노후시설 개선 등 정부 지원사업 국비 확보 △통합 거리비례제 운임 도입 및 운임 인상 정례화 등을 제시했다. 그러나 대부분이 국비 지원 확대에 의존한 것으로, 자체적인 자구책은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행정안전부와 지방공기업평가원이 공동 수행한 ‘2024년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부산교통공사는 지난해 전국 도시철도 기관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100점 만점 기준으로 대구교통공사가 91.32점으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천교통공사 91.08점, 대전교통공사 89.83점, 서울교통공사 89.23점, 광주교통공사 89.02점을 기록했다. 부산교통공사는 88.10점으로 전년 대비 1.38점 하락하며 6위에 머물렀다.

해당 보고서에서 부산교통공사는 경영과 재무관리 부문에서 모두 미흡 사례로 지적됐다. 행안부는 “대부분의 도시철도 기관은 적자가 감소하였으나, 부산교통공사는 전년도인 ‘23년보다 손실이 확대되었으며, 적자 폭도 상당하다”며 “당기 순손실 확대 및 운영적자 심화, 통상 임금 소송 등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재무관리 부문에서도 “부산교통공사는 일반운임 상승 및 부대수익으로 운수수익이 전기 대비 221억 원 증가했지만, 운송원가와 판매관리비 증가 폭이 이를 웃돌았다”며 “부산시 출자금 470억 원이 투입되었음에도 순자산은 3937억 원이 감소했다. 통상적인 수준 이상의 개선 계획이 요구되며 고강도 자구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부산교통공사 측은 “행안부가 보고서 발간을 준비 중인 2024년 경영평가에서는 ‘나등급’을 받아 관련기관 중 2위를 차지했다”며 “다른 지자체, 관계기관과 함께 정부에 국비 지원을 요구하는 등 적자 개선을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금정산챌린지
wof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

FUN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