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이 희생된 잇단 화재로 돌봄 공백 문제가 부각됐습니다. 24시간 긴급돌봄센터는 대부분 오후 10시까지만 운영되며, 이용률도 매우 낮습니다. 지역 간 격차, 낮은 접근성, 비용 부담 등으로 인해 돌봄 서비스가 사실상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
|
|
|
6일 부산시교육청에 따르면 ‘24시간 긴급보살핌늘봄센터’는 부산 13개 구에 29곳 운영 중이다. 그러나 실제 24시간 돌봄이 가능한 곳은 시교육청 소재 늘봄센터 1곳 뿐이다. 나머지 센터는 대부분 오후 6~10시만 운영한다. 이들 늘봄센터 중 16곳은 지난달 이용자가 0명이었다. 연간 운영에 예산 7060만 원을 투입하지만, 지난해 1905명이 이용하는 데 그쳤다. | | | |
부산 상용근로자 100만 명 돌파가 눈앞이다. 실업률도 2%대로 안정적이다. 이는 최근 3년간 13조 원이 넘는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고 부산의 주력 산업인 조선기자재를 비롯한 제조업의 호황 덕이다. 그 이면에는 고령 노동자 증가, 관 주도의 일자리 증가라는 해결해야 할 부분도 존재한다.
|
|
|
|
"이제 시작인데, 벌써 이러면 한여름은 어떨지 생각만 해도 아찔합니다." 전국에 폭염 특보가 내려진 6일 오전 통영시 산양읍 앞바다 가두리 양식장. 한낮 체감기온이 35도에 육박하는 때 이른 불볕더위에 바다도 달아올랐는지 한증막 같은 열기가 피어오른다. 경남 최대 양식어류 산지 중 하나인 이곳에선 총 1ha, 축구경기장 1.5배 크기 수조를 바다에 띄워 놓고 조피볼락(우럭)과 참돔, 고등어를 키운다. 모두 합쳐 30만 마리가 넘는다.
|
|
|
|
부산의 주요 랜드마크인 ‘북항친수공원’ 공식 이름을 정하기 위한 절차가 추진된다. 가칭인 ‘북항친수공원’을 선호한다는 목소리와 함께 임진왜란 승전지라는 역사성을 반영해 ‘부산대첩기념공원’이라 이름을 지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
|
|
|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속도를 내면서 부산으로 이주해 오는 해수부 직원들을 환영해 줄 ‘인센티브’에도 관심이 모인다. 부산시나 해수부 입장에서는 임시 청사 마련이 더 시급한 과제로, 청사 찾기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지만 내려오는 직원들 입장에서는 주거, 교육 여건이 ‘가족 동반 이주’ 여부를 결정할 가장 큰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
솔직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
만족해요
아쉬워요
|
|
|
|
부산일보가 취재해서 밝혀주길
바라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론 응원 메시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나의 의견 전송하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