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해외연의회가 제안한 부산·톈진 협력 사업은 부산 전략 산업을 아우른다. 타당성과 실현 가능성만 너무 오래 따지다 기회를 놓치는 우를 범할 것이 아니라, 함께 머리를 맞대 위험 부담을 하나씩 해소하며 사업을 성사시켜 나가는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육·해·공 아우르는 허브 기대
코로나 대응 협력 전진기지도
연 300만 명 중국 관광객 추진
“수도권과 경쟁 전략적 대응을”
■물류 허브, 관문공항 타당성 높인다
부산시는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에 글로벌 물류 업체를 유치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하지만 아직 성과는 없다. 이번에 알리바바를 염두에 둔 중화해외연의회의 동북아 e커머스 물류 허브 제안이 실행된다면 부산항의 큰 숙제 하나가 해결되는 셈이다.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소비가 늘면서 점증하던 e커머스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베이징에서 가까운 톈진은 서해안이 더 가까운데 부산항을 물류 허브로 선택한 이유가 무엇일까?
중한우호기업협의회 김덕준 회장은 “인천이 중국에 가깝긴 하지만 일본과 유럽·미주, 남아시아권까지 봤을 때는 원양과 근해 피더 노선이 풍부한 부산항의 경쟁력이 더 높다”며 “동남권 관문공항이 가덕도에 건설되면 항공과 해운, 육로를 아우르는 복합 운송이 가능해져 글로벌 물류 거점으로서의 중요도도 더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나승권 전문연구원도 “아시아 e커머스 시장을 선도하는 한·중·일이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면서 e커머스에 필수적인 소비자 정보 보호, 분쟁 해결 체계 구축, 전자결제 기술 표준 상호 인정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중국이 부산항 신항 인근에 공동 물류센터를 구축하려는 것은 육·해·공 복합 운송 장점에다 러시아와 유럽까지 바라본 전략”이라고 설명했다.
이렇게 중국이 가덕도 인근을 물류 허브 입지로 꼽은 것을 보면 가덕신공항의 명분을 더 강화할 수 있다는 평가다.
하지만 김 회장은 “인천이 약 10년 전부터 동북아 e커머스 물류 허브 구축을 추진해 왔고, 수도권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워낙 적극적이어서 부산이 어물쩍거리다가는 수도권에 입지를 빼앗길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코로나19 대처에 300만 관광객까지
중화해외연의회는 코로나19로 시작된 바이러스 사태에 대처할 한·중·일 공동 연구·치료 센터 건립을 제안했다. 도시 봉쇄까지 갔던 우한에서 축적한 치료 노하우를 3국 의료진이 공유하고, 양한방 협력을 통해 안정적인 치료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부산과 인접한 양산에 이 시설이 들어서면 동북아 감염병 대응 협력 전진기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또 중화해외연의회는 중국 관광객의 부산 방문 재개도 추진하기로 했다. 올해 초 북방경제인연합회 김칠두 이사장과 김덕준 회장이 오거돈 전 시장을 만났을 때 오 전 시장이 중국 관광객을 연간 300만 명 부산에 보낼 수 있겠냐고 요청했고, 중국에선 보낼 수 있다고 답했다고 김 회장은 밝혔다. 인프라는 충분하므로 관광 코스를 경남, 울산과 경주까지 잇고, 관광객 편의를 위해 부산과 톈진을 잇는 직항 노선을 만들 필요가 있다는 논의가 후속으로 이뤄졌다.
코로나19 이후 연간 300만 중국 관광객 방문이 현실화된다면 공멸 직전인 지역 관광산업에 엄청난 부흥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호진·박석호 기자 jiny@busan.com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