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기사보기
  • 지면보기
  • 사회
  • 정치
  • 경제해양
  • 문화
  • 라이프
  • 스포츠연예
  • 오피니언
  • 경남울산
  • 사람들
  • 펫플스토리
  • 뉴스레터
  • 부산시정뉴스
  • 뉴스인뉴스
  • 동네북
  • 특성화고 소식
  • 대학소식
  • 전문대소식
  • 해피존플러스
  • ['부러진 마이크' 저널리즘을 외치다] ② KBS, 국민의 방송 맞나

    입력 : 2012-02-21 09:49:00 수정 : 2012-02-21 09:56:22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4대강 쟁점 다룬 '추적 60분' 제작진 일방 교체·징계

    전국언론노조 KBS본부 조합원들이 사측의 무더기 징계에 항의해 KBS 신관 로비에서 천막 농성을 벌이고 있다. 노조는 1년이 지난 합법 파업에 대해 뒤늦게 부당한 징계를 남발했다며 반발하고 있다. 전국언론노조 제공

    KBS가 심상찮다. KBS기자협회는 지난 주 찬반투표를 통해 압도적인 찬성으로 제작거부를 결의했다. KBS 새 노조도 23일까지 파업찬반투표를 진행하고 있다. 부당 징계, 인사 분쇄 및 김인규 사장 퇴진을 위한 파업 찬반투표다.

    KBS의 어느 취재 기자는 제작거부 사태의 원인을 '시벌노마(施罰勞馬)'라고 말했다. 열심히 뛰는 말을 벌한다는 뜻으로 우스개로 만든 사자성어인데 천안함, 4대강 등 민감한 이슈를 다룬 '추적 60분' 제작진 교체와 징계를 빗댄 것이다. '국민의 방송' KBS에서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것일까.

    정연주 후임 이병순 사장
    '미디어포커스' 등 힘빼기
    탐사보도팀 전격 해체

    김인규 씨 새 사장 취임
    13명 무더기 중징계
    기자·PD 제작거부 결정


    ■ 정권이 끌어내린 사장

    원고는 '정연주'. 피고는 '이명박'. 정연주 KBS 전 사장이 제기한 '해임처분 무효 확인 소송'의 피고는 대통령이다. 2008년 8월 11일 정연주 당시 사장을 해임한 사람이 이 대통령이기 때문이다.

    미디어오늘 고승우 전문위원은 "정연주 사장의 경우 청와대가 진두지휘하고 감사원, 검찰, 방송통신위원회 등이 조폭과 같은 합동작전을 벌여 불법 해직시켰다"고 사설을 통해 지적했다.

    대법원은 지난 1월 12일 KBS 정연주 전 사장의 배임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내렸다. 정 전 사장이 KBS에서 쫓겨난 법률적 근거는 '배임'이다. 직무 수행 과정에서 회사에 손실을 끼쳤다는 것이 이유였다.

    정 사장 재임 당시 KBS는 추징 당한 609억 원의 법인세가 부당하다며 고발을 했다. 법원은 조정을 했고, 정연주 사장은 경영회의를 통해 수용했다.

    그러나 검찰은 정 사장을 자택에서 체포했다. 전 KBS 직원의 정 사장 고소, 우파 시민단체의 감사원 국민감사 청구, 검찰의 본격 수사 착수로 이어진 시나리오성 짙은 기획 수사였다.

    정연주 전 사장은 "이명박 정권 출범 전부터 한나라당 의원들이 '방송 때문에 정권을 빼앗겼다'는 말을 많이 했다. 이들이 다시는 권력을 안 뺏기기 위해 한 첫번째 일이 언론장악, 특히 방송장악이었으며 KBS가 그 시작이었다"고 말했다.

    정연주 전 사장의 해임 이후 KBS는 정작 주인인 국민들로부터 냉소를 받는다. 각종 시위현장에서 KBS 취재팀은 MBC 기자와 함께 쫓겨나는 일이 잦았다.



    ■정권이 임명한 사장

    KBS의 인기 드라마 '성균관 스캔들'의 편성 분량은 1천200분이었다. 그런데 정책 홍보성이 다분한 'G-20 정상회의' 특집방송에 무려 3천300분이 편성됐다. 한나라당 중진 의원은 예능 프로그램에 단골로 출연했고, '명사 스페셜'에 여권 인사가 대거 출연했다. 2008년 보신각 타종식 생중계 때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시위 목소리는 철저히 외면했다.

    정연주 전 사장이 쫓겨난 자리를 이병순(63) 씨가 차지했다. 이 사장은 '시사투나잇', '미디어포커스' 등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폐지하려 했다가 반발에 부딪히자 '시사360', '미디어비평'으로 이름을 바꿔 '힘 빼기'에 성공했다. 2008년 8월 심층 보도로 호평을 얻던 탐사보도팀을 전격 해체했다. 소속 기자들은 '친 정연주 세력'으로 몰려 지역 방송국 또는 비보도 부서로 발령이 났다.

    구성원들의 76.9%가 이 사장 연임을 반대했다. 2009년 KBS이사회는 이명박 후보의 방송특보 출신 김인규(62) 씨를 사장으로 임명했다. 김 사장은 정치부 기자 출신이다. KBS 노조는 김 사장 퇴진을 위한 파업 찬반 투표를 실시했지만 부결되고 말았다. 이에 반발한 기자와 PD를 중심으로 새로운 노조가 생겼다.

    김 사장은 2010년 7월 파업을 했다는 이유로 최근 새노조 집행부와 조합원 13명을 무더기로 중징계한다. 새노조는 "합법 파업에 대해 1년이 지나서 갑자기 징계하는 것은 노조의 힘을 빼려는 사측의 꼼수"라며 반발하고 있다.

    KBS 새노조 관계자는 "김 사장은 지난 2010년 천안함 사건이 터지자 시신도 인양하기 전에 모금 방송에 나서는 등 오로지 정권의 안위를 위한 방송에 열중했다"고 증언했다.

    고려대 출신으로 최근 임명된 이화섭 보도본부장도 갈등의 근원이다. 이 본부장은 추적 60분 팀이 준비한 '4대강 사업' 프로그램을 축소하는 등 수 차례 공정보도 논란을 일으킨 것으로 알려졌다.



    ■일어서는 기자정신

    이처럼 '불공정 편파방송'의 대명사로 전락한 KBS를 살려야 한다며 기자와 PD들이 제작 거부에 나섰다. KBS 기자협회는 '부당 징계 및 본부장 인사 철회를 위한 제작 거부 찬반 투표'가 찬성률 72.3%(참여자 364명 중 263명)로 가결됐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기자협회는 이에 앞서 지난 15~16일 이틀 간 찬반 투표를 실시했다. PD협회도 지난 16일 긴급총회를 열고 제작 거부를 결의했다.

    KBS 새노조도 파업을 준비 중이다. 현재 노조원 1천160명이 가입돼 있는 새노조 측은 17일부터 23일까지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하고 있다. 이에 앞선 지난 14일 새노조는 대의원대회를 열고 만장일치(찬성 51표, 반대 0표)로 총파업을 위한 투표를 진행하기로 했다.

    새노조 윤성도 정책실장은 "이번 총파업 투표 결의는 김인규 특보 사장이 2년여 동안 행한 패악질과 만행을 더 이상 두고 볼 수 없다는 조합원들의 분노가 표출된 결과"라며 "현재의 대량 중징계 사태와 이화섭 본부장 등의 막장 인사를 분쇄하고 회사를 살리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3천명의 노조원을 거느린 기존 노조(1노조) 측은 "현재 파업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정연주 전 KBS사장은 "언론 자유는 결국 내부에서 싸워 쟁취해야 하는 것"이라며 "민주 정권이 들어서거나 언론 자유를 옹호하는 사장이 있을 때처럼 외부에서 주어진 자유라면 상황에 따라 흔들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심층기획팀=이재희·박세익·이자영 기자

    deep@busan.com




    시리즈 목차

    ① MBC 뉴스가 왜 이리 짧아?
    ② KBS, 국민의 방송 맞나
    ③ TV에서 사라진 YTN 기자들
    ④ 언론장악 욕심의 산물 '종편'
    ⑤ 대안언론, 시대정신의 분출구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