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기사보기
  • 지면보기
  • 사회
  • 정치
  • 경제해양
  • 문화
  • 라이프
  • 스포츠연예
  • 오피니언
  • 경남울산
  • 사람들
  • 펫플스토리
  • 뉴스레터
  • 부산시정뉴스
  • 뉴스인뉴스
  • 동네북
  • 특성화고 소식
  • 대학소식
  • 전문대소식
  • 해피존플러스
  • 진통제 성분 '아세트아미노펜', 남성 생식 능력에 영향

    입력 : 2016-07-15 12:12:4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타이레놀 등 진통제에 함유된 아세트아미노펜이 남성 생식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4일 미국 UPI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국립보건원(NIH) 산하 아동보건·인간발달연구소(ICHHD)의 멜리사 스마르 연구원은 501쌍의 부부가 참가한 '생식기능과 환경 연구' 자료를 통해 남성의 소변 중 아세트아미노펜 수치가 높은 부부는 임신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고 발표했다. 
      
    소변 중 아세트아미노펜 수치가 73.5ng/ml 이상인 남성은 5.4ng/ml 이하인 남성에 비해 임신 성공률이 3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은 아세트아미노펜의 소변 수치가 임신 성공률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여성은 소변 중 아세트아미노펜 수치가 평균 26.6ng/ml로 남성의 13.2ng/ml보다 훨씬 높았다.
     
    아세트아미노펜은 타이레놀 같은 해열진통제의 주성분이지만, 이 물질은 고무, 살충제, 식품염료, 화장품 제조에 사용되는 화학물질인 아닐린을 분해하기 위해 체내에서도 만들어지기 때문에 소변 중 아세트아미노펜 수치는 진통제 아세트아미노펜 복용 때문만이 아닐 수 있다고 스마르 연구원은 설명했다.
     
    스마르 연구원은 아세트아미노펜을 복용한 이유가 무엇인지, 아닐린에 얼마나 노출됐는지를 알 수 없는 만큼 이 문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