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 기사보기
  • 지면보기
  • 사회
  • 정치
  • 경제해양
  • 문화
  • 라이프
  • 스포츠연예
  • 오피니언
  • 경남울산
  • 사람들
  • 펫플스토리
  • 뉴스레터
  • 부산시정뉴스
  • 뉴스인뉴스
  • 동네북
  • 특성화고 소식
  • 대학소식
  • 전문대소식
  • 해피존플러스
  • 뉴욕증시 이틀째 폭락…관세전쟁 발발에 탈출 러시

    입력 : 2025-04-05 07:05:3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코로나 이후 5년만에 최악의 급락 사태
    중국 보복관세 대응에 경기침체 공포도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TSMC 모두 하락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모습. 연합뉴스 사진은 뉴욕증권거래소의 트레이더 모습. 연합뉴스

    상호관세 발표로 인해 3일(현지시간) 급락했던 미국 증시가 4일에도 폭락사태를 빚었다.

    이른바 ‘R의 공포’라 불리는 경기침체 공포가 휘몰아쳤는데도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은 금리조정 여부에 대해 관망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투자자들은 ‘팔자’에 나섰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전장보다 2231.07포인트(5.50%) 급락한 3만 8314.86에 거래를 마쳤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은 322.44포인트(5.97%) 떨어진 5074.08에 장을 마감했다.

    나스닥도 962.82포인트(5.82%) 하락한 1만 5587.79에 마감했다.

    S&P 500은 코로나 공포가 덮친 2020년 3월 16일(-12%) 이후 5년 만에 일간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나스닥도 3∼4일 이틀간 낙폭만 11%를 넘어섰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정책 불확실성과 물가급등, 경기침체 위험이 커지면서 미 증시는 이틀 연속 폭락 장세가 이어졌다.

    4일엔 중국 정부가 미국의 상호관세에 대응해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면서 경기침체 공포(R의 공포)를 더욱 키웠다.

    아울러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은 이날 미 행정부의 관세 인상 정도가 예상보다 커졌다며 관세가 인플레이션을 높이고 성장을 둔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통화정책 변화를 언급하기엔 너무 이르다며 기다리면서 관망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이같은 느긋한 발언에 투자자들은 실망하면서 시장에서 팔자에 나섰다.

    시총 1위 애플과 엔비디아는 이날 각각 7.3% 급락했고 테슬라는 10.5% 폭락했다. 또 마이크로소프트 3.56%, 알파벳(구글 모기업) 3.40%, 아마존 4.15%, 메타(페이스북 모기업) 5.06% 각각 밀렸다.

    인텔은 TSMC와 파운드리 합작 법인 설립 조건에 잠정 합의했다는 소식이 기대를 모았으나 주가는 11.50% 후진했다. TSMC 주가도 6.75% 내렸다.

    투자자문사 바워삭 캐피털 파트너스 최고경영자(CEO)는 “강세장은 죽었다. 이념가들과 자해 상처가 시장을 파괴했다”며 “시장이 조만간 바닥을 치겠지만 우리가 더 걱정하는 것은 글로벌 무역전쟁이 장기적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라고 말했다.

    앤젤레스 인베스트먼트의 마이클 로젠 최고투자책임자(CIO)는 “트럼프가 관세와 무역 정책을 쉽게 포기할 것이라 보이지 않는다”며 “주가 하락은 나쁘고 일관성 없는 무역 정책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라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