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10일부터 열리는 이완구 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에서 정면충돌을 예고하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등 야당은 각종 의혹을 제기하며 "스스로 거취를 결정하라"며 사퇴 압박에 나섰다. 반면 새누리당은 "의혹만 가지고 후보자를 낙마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태도"라고 맞서고 있다.
내일 청문회 여야 격돌 예고
불리한 기사 삭제 요청하고
언론사 인사 개입 발언까지
차남 건보료 미납도 도마에
야 "비뚤어진 언론관 " 맹공
■계속 불거지는 의혹들
이 후보자와 관련된 의혹은 본인의 적극적인 해명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제기되고 있다.
병역 문제의 경우 당초 차남에서 후보자 본인으로 의혹이 옮겨갔다. 이 후보자는 징병신체검사에서 이른바 평발 변형을 불러오는 '부주상골'을 사유로 보충역 소집 판정을 받았으며, 1년 만기를 채우고 소집해제 됐다.
그러나 최초 징병검사에서는 '1급 현역' 판정을 받았고, 행정고시에 합격한 후 재검을 신청해 보충역 판정을 받은 것으로 드러나자 야당에서는 특혜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2억 원이 넘는 연봉을 받는 차남이 건강보험료를 한 푼도 내지 않았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새정치연합 진선미 의원은 8일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차남이 미납한 건보료가 총 2천400여만 원이라고 밝혔다. 2011년 8월~2014년 11월 미국계 법률회사에서 근무한 차남은 총 7억 7천만 원(550만 홍콩달러)의 급여를 받았지만 이 같은 해외소득을 신고하지 않고, 아버지 또는 형의 지역세대원 자격을 유지했다.
■언론 보도 개입 논란도 확산
이 후보자가 언론사 간부에게 전화를 걸어 자신과 관련된 보도를 막았다는 의혹도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되고 있다.
KBS가 새정치연합 김경협 의원으로부터 받아 공개한 녹취록을 통해 이 후보자가 언론사 간부에게 자신에게 불리한 기사의 삭제를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녹취록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기사 내용뿐 아니라 언론사 인사에 개입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 발언도 했다.
이와 관련, 이 후보자는 "다소 거칠고 정제되지 못한 표현을 사용한 것은 부덕의 소치"라고 사과했다.
그러나 야당은 "국보위 출신으로서 비뚤어진 언론관이 확인됐다"며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새정치연합 소속 국회 총리인사청문특위 위원들은 8일 성명을 내고 "언론자유와 자유민주주의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반 헌법적 인식을 가지신 후보자를 인사청문회장에 세워도 되는지 심각하게 고민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거취를 결정하라"고 요구했다.
순조로울 것으로 예상되던 인사청문회가 '가시밭길'로 변하자 새누리당은 당혹감 속에서 적극적인 방어에 나서고 있다.
권은희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 후보자가 언론통제 의혹에 대해 사과한 사실을 언급한 뒤 "공직후보자의 자질검증은 인사청문회를 통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에서도 청와대의 '쇄신 카드'로 나온 이 후보자가 이미 너무 큰 상처를 입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김종우 기자 kjongwoo@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