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아성, "착한 영화? 밝지만 날카롭고 무서운 것도 있죠" (인터뷰)

입력 : 2016-02-05 08:46:11 수정 : 2016-02-05 08:51:25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나 어렸을 때보다 훨씬 잘하더라.”
 
배우 고아성은 영화 ‘오빠생각’에서 어린이 합창단원을 연기한 수많은 아역과 함께했다. 아역 때부터 연기를 해왔던 그녀에겐 남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뭔지는 모르겠지만, 괜한 기대와 설렘이 자리했다. 자신의 옛 기억도 떠올랐을 법하다. 
 
고아성은 비에스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그 나잇대 연기를 시작해서 아이들을 만나기 전에 기대를 많이 했다”면서 “옛날 생각나게 해주지 않을까 했는데 나 어렸을 때보다 훨씬 잘하더라”고 웃음을 보였다. 
 
즉흥적인 감독의 주문과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감각적으로 연기해내는 어린 친구들을 보면서 오히려 많이 배웠단다. 또 이들과 얽힌 재밌는 일화도 들려줬다. 그녀는 “30명 정도의 아역이 있는데 그중에서 한 명의 역할 이름이 만지였다”며 “누가 ‘만지야’를 부르면, 나도 모르게 ‘네’ 하곤 했다”고 들춰냈다.
 
고아성은 이한 감독의 전작 ‘우아한 거짓말’에서 만지 역을 연기했다. 두 작품 사이에 ‘오피스’ ‘풍문으로 들었소’ 등 다른 작품을 했음에도 자동반응이었다고. 그만큼 전작의 영향이 컸다. 피아노를 잘 친다고 거짓말까지 해가면서 이번 작품에 참여하고자 했던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녀는 “한번 작업한 배우들은 다 같은 마음일 것”이라며 “온 진심을 다 담아서 영화를 만드는 분이다. 그럴 때마다 정말 멋있다”고 감독에 대한 존경을 담았다. 
 
한국전쟁 당시 실존했던 어린이 합창단을 모티브로 한 ‘오빠생각’에서 고아성은 합창단 아이들을 돌보는 박주미 선생님 역을 맡았다. 이 역할 역시도 실제 모델이 있었음에도, 이에 의지하지 않았다. 
 
고아성은 “실제로 있었지만, 왠지 현장에 맡기고 싶었다”며 “아이들이 합창하는 걸 보면서 그 반응을 온전히 느끼고 싶었던 게 있다. 그리고 그 반응이 생각 이상으로 크게 왔다”고 밝혔다. 
 
하지만 영화 속 박주미의 역할은 그리 크지 않다. ‘설국열차’ ‘오피스’ 등 강렬한 역할을 해왔던 것에 비해 돋보일만한 지점이 없는 캐릭터인 셈이다. 한상렬 역의 임시완이나 다른 아역 배우들과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맞다”고 고개를 끄덕인 고아성은 “시작할 때부터 이 영화는 아이들의 영화라고 생각했다”며 “뭔가 인상을 남겨야 한다는 생각은 없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시나리오상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연기할 때 중점을 뒀던 것도 아이들을 대하는 ‘진심’이었다. 
 
 
이한 감독의 특징 중 하나는 착하다는 것. ‘오빠생각’ 역시 한국전쟁을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극 중 인물과 영화의 배경은 따듯하고 밝다. 또 악역인 갈고리(이희준)마저도 착한 기운이 맴돈다. ‘우아한 거짓말’과 ‘오빠생각’, 두 편의 영화를 함께 한 고아성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그녀는 “‘우아한 거짓말’도 따듯하고, 밝지만 영화 자체는 날카롭다”며 “감독님 성향을 잘 알아서 어두운 점을 찾으려는 것일 수도 있는데 날카롭고 무서운 게 있다. 마냥 착한 영화라고 생각한 적 없다”고 단호한 표정을 지었다. 
 
‘또 고아성은 이한 감독의 작품을 연이어 하면서 많은 변화를 경험했다. 
  
“배우가 연기하면서 영향을 받았다고 말하는 게 사실 민망한 일이에요. 근데 이번에는 그걸 부정할 수 없을 것 같아요. 밝아지기도 했고, 긍정적으로 바뀌었어요. 또 30명의 아이와 지내다 보니 이들이 보거나 들으면 안 되는 이야기를 하지는 않았는지 뒤돌아보게 되더라고요. 말을 꺼내거나 행동할 때 한 번씩 생각해보는 버릇이 생겼어요.”
 
사진=비에스투데이 강민지 기자 
 
비에스투데이 황성운 기자 bstoday@busan.com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