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르도안(터키 대통령), 이슬람 혁명으로 독재 길 여나

입력 : 2016-07-18 19:02:24 수정 : 2016-07-20 12:24:24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17일(현지 시간) 터키 이스탄불 파티흐 모스크(이슬람 사원)에서 진행된 쿠데타 희생자들의 장례식에서 손을 맞잡고 기도하고 있는 어른들 사이로 천진난만한 얼굴의 아이가 보인다. EPA연합뉴스

세속주의 군부의 쿠데타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터키가 급격하게 이슬람 국가로 변모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터키의 건국 이념인 정치와 종교를 분리하는 세속주의를 약화시키는 데 주력해 온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이 이번 쿠데타에서 세속주의에 반대하는 열성적인 지지자들 덕에 살아남았기 때문이다.

세속주의 군부 쿠데타 빌미
지지 세력 이용 혁명 촉발
이슬람 국가로 변모 가능성
1979년 이란 상황과 유사


미국 워싱턴근동정책연구소의 소네르 차압타이 선임연구원은 월스트리트저널(WSJ) 기고에서 "이 동력을 에르도안 대통령이 행정가 스타일의 대통령으로 남는 데 쓸 수도 있겠지만, 종교 세력을 부추겨 나라를 장악하고 스스로 '이슬람 지도자' 자리에 오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 15일 밤(이하 현지 시간) 시작된 군부 쿠데타가 단 6시간 만에 실패한 데는 에르도안 대통령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결집을 호소하자 성난 지지자들이 거리로 뛰쳐나가 세속주의 군부 세력들에 대항한 영향이 컸다.

차압타이 선임연구원은 에르도안 대통령에게 이런 지지자들의 폭발적이고 강력한 힘은 대단히 유혹적일 수 있다면서 현재 터키가 1979년 이슬람 혁명을 눈앞에 둔 이란이 처한 상황과 비슷한 순간을 맞이했다고 지적했다. 1979년 이슬람혁명으로 이란은 세속주의 왕정이 무너지고 엄격한 신정일치 체제로 전환했다.

터키는 그동안 근대 건국이념에 맞춰 세속주의를 표방하고 서구와 가까워지는 행보를 보였다. 그러나 독실한 무슬림인 에르도안은 3차례 연거푸 총리로 집권하면서 여성 공직자의 히잡 착용을 허용하고 알코올 소비를 억제하는 등의 조처를 취해왔다. 2014년 터키 국가교육위원회가 6세 이상 모든 학생에게 수니파 종교 수업을 의무화하도록 하는 등 공교육 이슬람화 논란이 일었을 때에도 에르도안은 교육위 결정을 옹호했다.

첫 직선제 대통령으로 당선된 에르도안은 대통령 중심제로의 개헌을 추진하면서 독재의 발판으로 삼으려 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차압타이 연구원은 "쿠데타 실패 이후 에르도안의 지지율이 치솟고 있지만, 내년 선거까지 이어지리라는 보장이 없고 더 빠른 권력으로의 지름길은 이슬람 혁명이 될 수 있다"며 "쿠데타 때 거리를 점령한 지지자들은 보통의 집권당 지지자들이 아니라 이슬람 교도들이며 심지어 지하디스트(이슬람 성전주의자)도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에르도안 지지자들이 쿠데타에 가담한 군인들을 무차별 폭행했고 심지어 '이슬람국가'(IS)식으로 참수했다는 주장과 영상 등이 온라인에 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여론조사에서 터키인 27%가 IS에 반감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혁명에는 다수가 아니라 성나고 흥분한 소수가 필요할 뿐이다. 이런 세력을 이슬람 혁명을 촉발하는 데 이용할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한편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17일 이번 쿠데타 시도를 지지하는 터키의 젊은이는 거의 없었다며, 쿠데타보다는 흠결이 있더라도 민주주의가 낫다는 터키 국민의 목소리를 전했다.

트레이너인 코라이 수제르(25)는 "최악의 민주주의가 최선의 쿠데타보다 낫다"고 말했다. 베이글 노점을 하는 제린 쿠다이(24)도 "에르도안 대통령이 반대파로부터 독재자라는 비난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도 "그의 재임 동안 경제가 발전했고 정부의 서비스도 개선됐다"고 주장했다.

강희경 기자 himang@busan.com·일부연합뉴스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