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C형 간염에 대한 감시체계를 표본 감시에서 전수 감시로 전환한다. 작년에 이어 올해까지 집단 감염 사태가 잇따르자 C형 간염을 전수 감시대상으로 바꿔 집단 감염사태에 조기 대처할수 있어야 한다는 여론에 따른 것이다.
24일 보건복지부는 C형 간염을 3군 감염병에 넣어 전수감시 체계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3군감염병은 간헐적으로 유행할 가능성이 있어 계속 발생을 감시하고 방역대책을 수립해야 하는 감염병으로, 말라리아 결핵 한센병 쯔쯔가무시증 등이 해당된다. 단, 정부 입법으로 할지 의원 입법 방식으로 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최근 2011~2012년 서울 동작구 서울현대의원(현 JS의원)에서 진료받은 환자들이 무더기로 C형 간염에 걸린 사실이 확인됐다. 이 기간 이 의원을 방문한 환자는 모두 1만1천306명에 이른다. C형 간염 집단감염 사태는 작년과 올해에 걸쳐 벌써 세 번째다.
지난해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을 이용한 환자 가운데 96명이 C형간염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으며, 올해 초 강원도 원주시 한양정형외과의원에서도 435명이 C형 간염 항체양성으로 나타났다.
C형 간염 항체양성이란 과거에 C형 간염에 걸린 적이 있거나 현재 감염 중인 상태를 뜻한다.
이번에 발견된 서울현대의원에서의 집단 감염은 제보자의 제보를 바탕으로 건강보험공단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찾은 것이지만, 집단 발병 시점인 2011~2012년보다 4~5년 가량이나 늦다.
전수감시로 전환되면 개별 감염 사례 사이의 연결고리를 찾아 더 일찍 집단 감염을 발견할 수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어떤 방식이든 9월 임시국회에 법안이 발의가 돼 연내 입법이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집단 감염 사실이 뒤늦게 발견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고, 표본감시로는 집단감염을 신속히 발견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C형간염의 조기발견 중요성을 인식한 일본, 캐나다, 미국, 호주 등 대부분 선진국은 C형 간염을 전수감시하고 있다.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