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성 위기로 법정관리 문턱에 섰던 대우조선해양이 채무 재조정을 통한 정상화 첫관문을 무난히 통과했다.
최대 회사채 보유 기관인 국민연금이 이미 채무 재조정에 동의한 상태라 이변이 없는 한 경영 정상화에 필요한 2조 9000억 원의 추가자금 지원도 성사될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은 17일 오전 채무 재조정을 위한 사채권자 첫 집회(제4-2회차)에서 회사채 3000억 원에 대한 채권재조정 및 출자전환 건이 원간 가결됐다고 밝혔다.
현장에 출석한 사채권자는 서면 의결권자를 포함해 총 22명으로 보유 채권은 상정 채권의 80%인 2403억 5800만여 원이다.
이중 99.9%인 2403천 4700만여 원이 채무 조정에 찬성했다. 반대 채권은 1100만여 원이었다.
이번 집회는 17, 18일 양일간 진행될 5차례의 사채권자집회 중 첫번째 자리. 대우조선이 법정관리로 가느냐, 자율적 구조조정을 통한 정상화의 길을 가느냐가 걸린 만큼 이목이 집중됐다.
다행히 압도적 찬성으로 채무 조정안이 통과되면서 남은 집회 전망도 한층 밝아졌다는 평가다.
대우조선해양은 오늘 오후 2시, 5시에 2~3차 집회를 열어 2000억 원, 4400억 원 채권 재조정안을 상정한다.
이어 18일 오전 10시 600억 원, 오후 2시 3500억 원을 놓고 마지막 채권 재조정 동의절차를 진행한다.
가결 요건은 참석 대상 채권자 3분의 1 참석에, 참석자 3분의 2 이상 찬성이다.
5차례 집회가 모두 찬성 가결돼야 대우조선에 대한 채무 재조정이 성사돼 정부와 채권단이 준비한 2조 9000억 원의 추가 자금 지원이 이뤄진다.
대우조선 최대 회사채 보유자로 막판까지 채무 재조정을 놓고 고민을 거듭했던 국민연금이 집회 개회 직전 조정안을 수용하기로 한 만큼, 전체 조정안 통과도 무난할 전망이다.
그러나 단 1차례라도 부결되면 자금 지원은 없던 일이 되고 대우조선은 P-플랜(단기 법정관리)에 돌입한다.
이 경우, 무더기 발주 취소 및 연관 산업 붕괴 등 심각한 부작용이 예상된다.
대우조선 관계자는 "대주주 책임과 회수율과 관련한 집회 참석자들의 질문이 있었고, 이에 대해 성실하게 답했다"며 "내일까지 집회가 예정돼 있는만큼 기다려봐야 결과를 알겠지만 첫번째 집회를 무사히 통과한 만큼 좋은 결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민진 기자 mjkim@